기후 변화를 이대로 방치하면 우리나라 성장률이 오는 2100년까지 연평균 0.3%포인트(p)씩 떨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생산자물가는 2100년에 근접할수록 기준 시나리오보다 1.8% 더 상승할 것으로 예측돼 기후 변화에 적극 대응해야한다는 지적이다.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 기상청이 4일 공개한 '기후변화 리스크(위험)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 위험은 탄소가격 상승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산업의 생산비용 증가, 국내외 온도 상승·강수 증가 피해 등 자연재해 빈도와 규모 확대 등을 통해 실물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 위험을 시나리오별로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가 별도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시행하지 않을 경우 오는 2100년께 국내총생산(GDP)은 기준 시나리오(국내 인구성장 추세 바탕 추정 성장 경로)보다 21%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연평균 성장률이 2024년부터 2100년까지 0.30%p씩 감소한다는 예측이다.
한국 등 세계가 오는 2050년까지 지구 평균 온도 상승을 '1.5℃ 이내'로 억제하도록 탄소 중립을 달성하는 시나리오에서는 2100년 GDP 감소율이 10.2%, 성장률 하락 폭은 0.14%p로 각각 줄었다.
온도 상승 폭 목표가 2℃로 커지면, GDP는 연평균 0.21%p 축소돼 2100년 15% 감소했다.
물가도 기후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예측됐다.
기후 위험에 대응하지 않는 시나리오에서 2100년에 근접할수록 우리나라 생산자물가는 기준 시나리오보다 1.8% 더 상승했다.
다만 '1.5℃ 이내' 시나리오 분석에서 2100년 생산자물가 추가 상승률은 1.9%로 기후 위험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보다 높았다. 이는 탄소가격 정책 도입 등으로 기업의 생산 비용이 늘어 2050년까지 물가 상승 압력이 집중적으로 커지기 때문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김재윤 한은 지속가능연구팀 과장은 "탄소가격 정책에 따른 전환 리스크의 영향은 2050년 전후 확대됐다가 이후 점차 축소되지만, 기후 피해에 따른 물리적 리스크는 정책 대응이 없거나 늦은 경우 2100년에 이르면서 급증하는 것으로 추정됐다"며 "온실가스 감축 정책을 조기 강화하는 게 우리나라 경제에 장기적으로 유리한 전략"이라고 말했다.
기후 변화에 대응하지 않는 시나리오에서 우리나라 21세기 말(2081~2100년 평균) 연평균 기온은 현재(2000~2019년 평균)보다 6.3℃ 오르고, 강수량은 16% 늘어날 것으로 추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