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원 10명 중 9명 이상이 현재 소득으로는 생계 유지가 충분하지 않다고 느끼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 온라인노조 추진위원회와 한국어교원협회는 대학 어학당, 유·초·중·고, 가족센터 등에서 일하는 한국어 교원 524명을 대상으로 노동실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95.2%가 "현재 소득이 생계유지에 '충분하지 않다"고 응답했다고 한글날인 9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8월 26일부터 지난달 13일까지 진행됐다.
월 100만 원 미만의 급여를 받는다는 응답자는 15.7%, 월 100만 원 이상 200만 원 미만의 급여를 받는다는 응답자는 39.7%였다.
이처럼 임금이 적어 가족의 소득에 의지한다는 응답자는 53.4%에 달했다. 별도의 경제 활동을 한다는 응답도 39.2%를 차지했다.
또 응답자의 93.4%가 지난해 한 해 동안 연차 휴가를 사용한 적이 없다고 답했고, 83.8%는 아플 때 유급 병가를 사용할 수 없다고 답했다.
정규직 또는 무기계약직으로 일하는 한국어 교원은 전체 응답자의 23.3%에 불과했다. 절반이 넘는 59.9%가 기간제 계약직으로 일했고, 14.5%는 위촉·도급·용역·파견 등의 간접 고용 형태였다.
'가족이나 지인이 한국어 교원으로 근무하고자 한다면 이 일을 추천하겠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88.1%가 추천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직장갑질119 측은 한 응답자가 한국어 교원을 추천하지 않는 이유로 "먹고 살기 힘들어서, 고학력 저임금 노동자가 되니까, 육아휴직·국민연금 등 노동자의 권리를 사용할 수 없으니까"라고 답했다고 전했다.
이러한 현실에, 한국어 교원들은 '한국어 교원의 법률적 지위 마련과 정립'이 최우선 과제(51.9%)라고 답했다. 뒤이어 '시간당 강의료 인상'(44.0%), '정규직 전환 등 고용 안정'(41.6%), '주당 강의 시수 확대'(26.7%), '강의 외 노동 시간 임금 지급'(22.3%) 등 처우 개선이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