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공대 박철민 교수팀, 불타지 않는 전고체전지 개발

금오공대 박철민 교수. 금오공대 제공

국립금오공대(총장 곽호상) 신소재공학부 전지신소재연구실 박철민 교수팀이 고성능과 안전성을 갖춘 전고체전지 개발에 성공했다.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가연성 유기 용매를 사용한 액체 전해질로서, 외부 충격이나 파손 시 배터리 내부에서 열폭주(thermal runaway)가 촉발되기 때문에 화재 및 폭발 위험이 있다.이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액체 전해질을 불연성의 고체전해질로 대체하는 전고체전지의 상용화를 위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전고체전지에도 고성능 음극 소재 개발과 관련한 난관이 있다. 예를 들어 리튬(Li) 금속 음극은 충·방전 과정에서 덴드라이트(dendrite)가 형성돼 성능 저하 및 안전성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실리콘(Si) 기반의 음극 및 무음극은 낮은 면적 용량(mAh/cm2) 및 고속 충전이 어려운 특성으로 인해 상용화가 어렵다.
 
박철민 연구팀은 주석(Sn) 기반의 합금계 소재인 철-주석 화합물(FeSn2)을 전고체전지용 음극소재로 제안했다.

연구팀은 실리콘 및 주석과 같은 합금계 음극소재가 리튬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해 합금상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피 변화에 주목했다. 이 부피 변화가 전고체전지 시스템에서 고체 간의 접촉을 유지하는 데 장애가 될 수 있다는 기존의 통념 극복을 위해, 합금계 음극소재의 기계적 특성을 면밀히 분석했다.

특히, 외부 압력이 가해지는 전고체전지 환경에서 음극소재의 기계적 특성이 전기화학 반응 중 어떤 현상을 초래하는 지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합금계 음극소재 중 '실리콘'은 높은 취성(외부에서 힘을 받았을 때 물체가 소성 변형을 거의 보이지 아니하고 파괴되는 현상)과 낮은 변형에너지로 인해 충·방전 시 쉽게 파괴되어 전기적 접촉 손실과 성능 열화를 나타낸다.

연구팀은 주석 대신 주석계 화합물(FeSn2) 음극소재가 외부 압력이 가해지는 전고체전지 환경에서 높은 탄성-소성 변형에너지가 충·방전 중에 형성된 공극을 메워 입자 간의 접촉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연구팀은 FeSn2 음극소재를 활용해 NCM622 양극과 황화물 고체전해질(Li6PS5Cl)을 적용한 완전셀(full cell)을 제작했고, 이를 통해 높은 면적 용량(15.54 mAh/cm2)과 높은 에너지밀도(>200 Wh/kg)를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FeSn2 음극소재를 활용한 연구개념도. 연구내용 캡쳐

또한, 6분 및 3분 만에 충전이 가능한 10C 및 20C의 고속 충전 조건에서 1천회 이상의 뛰어난 사이클 안정성을 보였으며, 상용화를 위한 안전성, 넓은 작동 온도 범위, 비용 효율성 및 대량 생산 가능성을 입증했다.

박철민 교수는 "이번 성과는 리튬 금속계 음극 및 무음극 기반의 음극 소재 개발에 치우친 기존 전고체전지 연구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라며 "전고체전지 상용화를 위한 고성능 음극소재 개발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