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국 시·군·구 '10곳 중 3곳'은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정 갈등이 7개월째 지속되며 의료현장의 과부하가 커지는 가운데 지역 간 인프라 불균형에 따른 '응급실 뺑뺑이'가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2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실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시·군·구 및 전문과목별 활동의사인력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 7월 기준 229개 시군구 중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없는 지역은 66곳에 달했다. 전체 28.8%에 해당하는 비중이다.
이러한 응급의료 취약지는 경남(거제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고성군·남해군·하동군·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 11곳)과 경북(의성군·청송군·영양군·영덕군·청도군·성주군·칠곡군·예천군·봉화군·울릉군, 10곳)이 각각 10곳 이상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많은 9곳을 기록한 전남(담양군·곡성군·고흥군·보성군·장흥군·강진군·장성군·완도군·진도군) 등 도(道) 단위의 지역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광역시의 기초지자체로는 부산의 중구·영도구·사하구·금정구·강서구, 대구 서구·달성군·군위군, 인천 옹진군 등이 이름을 올렸다.
이에 더해,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있긴 하나 인구 1천 명당 1명도 채 안 되는 시군구를 합치면 147곳(1천 명당 0.5명 미만 95곳, 0.5~1.0명 미만 52곳)에 달한다. 전체 대비 약 64.2%다.
필수의료를 대표하는 이른바 '내·외·산·소(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부재한 지역도 상당수인 것으로 드러났다.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없는 시군구는 229개 중 14개로 집계됐다. 이를 포함해, 해당 전문의가 있더라도 19세 이하 인구 1천 명당 1명을 충족하는지를 기준으로 보면 미달되는 지역이 178곳이나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초저출산의 직격타를 받고 있는 산부인과의 경우, 전문의가 '0명'인 시군구는 11곳이었다. 다만, 산부인과 전문의가 있어도 여성인구 1천 명당 1명도 안 되는 지역은 216곳(0.5명 미만 210곳, 0.5~1.0명 미만 6곳)으로, 무려 94%였다.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내과도 예외는 아니었다.
전체 시군구 중 인구 1천 명당 내과 전문의가 1명 미만인 지역은 218곳이었고, 전문의가 단 한 명도 없는 시군구도 3곳(경북 영양·울릉, 경남 산청) 있었다.
모든 진료과목을 아우른 국내 인구 1천 명당 활동 의사 수는 2.1명으로 파악됐다. 치과의사(1천 명당 0.6명)와 한의사(1천 명당 0.5명)를 포함시키면 3.2명이다.
한의사·치과의사를 뺀 전체 의사 수가 인구 대비 가장 적은 지역은 강원 고성(1천 명당 0.3명)이었다.
강원 양양과 인제(각각 1천 명당 0.4명), 같은 도내 횡성(0.6명), 정선(0.7명) 등도 환자를 실제로 진료 중인 의사가 매우 적었다.
김선민 의원은 이에 대해 "언론에 따르면, 윤석열 정부의 무리한 의대 증원으로 의료공백이 장기화되어 겪는 불편에도, 80%가 넘는 많은 국민은 의대증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다만) 어떤 방식으로 의대를 증원할 것인지뿐 아니라 증원된 의사들을 어떻게 배치할 것인지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며 "국회 의료개혁 논의과정에서 이러한 지역불균형적인 의료체계의 문제도 함께 해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