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은 물가에 올 상반기 실질임금 뒷걸음질…0.4% 감소

6월에도 실질임금 증가폭 0%대 머물러
7월 사업체 종사자 13.4만 명 증가…5개월 연속 10만 명대 소폭 증가
내수 침체·건설업 불경기로 움츠러든 고용시장

노동자 1인당 월별 실질임금 추이(단위: 천원, %). 고용노동부 제공

내수 침체와 건설업 불경기로 국내 사업체 종사자 수 증가폭이 5개월 연속 10만 명대의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또 연초 고물가 현상을 임금이 따라잡지 못하면서 올 상반기에는 물가 수준을 반영한 실질임금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가 29일 발표한 '2024년 7월 사업체노동력조사 및 4월 지역별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 6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노동자 1인당 임금총액은 386만 1천 원으로 전년동월대비 3.3%(+12만 4천 원) 증가했다.

임시일용근로자 임금총액은 175만 8천 원으로 0.6%(+1만 1천 원) 증가에 머물렀지만, 상용근로자의 경우 410만 8천 원으로 3.7%(+14만 5천 원) 늘어 임금 상승을 주도했다.

노동실태부문. 고용노동부 제공

다만 6월 물가수준을 반영한 노동자 1인당 실질임금은 339만 2천 원으로 0.9%(+3만 원) 증가에 그치면서, 실질임금이 두 달 연속 0%대 인상률을 기록했다.

또 2/4분기 실질임금은 337만 8천 원으로 0.9%(+3만 1천 원) 증가에 그쳤고, 심지어 상반기는 354만 3천 원으로 0.4%(-1만 5천 원) 감소했다.

이에 대해 노동부 김재훈 노동시장조사과장은 "소비자물가지수가 높아짐에 따라서 2022년 초부터 감소세가 유지됐고, 명절 효과로 1월 실질임금이 감소 폭이 커서 상반기가 감소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최근 물가의 증가 폭이 둔화되면서 실질임금의 증가세로 전환됐다고 볼 수 있다"고 해석했다.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1인당 근로시간은 147.5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11.8시간(-7.4%) 감소했다. 이는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른 월력상 근로일수는 전년대비 2일 감소한 영향이 커보인다.

고용부문. 고용노동부 제공

한편 지난 7월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는 2013만 1천 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3만 4천 명(+0.7%) 증가했다.

사업체 종사자 수 증가폭은 코로나19 사태가 종식되면서 2021년 3월부터 41개월 연속 증가 중이다. 다만 증가폭은 꾸준히 줄어서 지난해 10월(29만 3천 명)에는 20만 명대로, 지난 3월(18만 4천 명)부터는 10만 명대로 떨어졌다.

다만 12만 8천 명 증가에 그쳐  2021년 3월(+7만 4천 명) 이후 39개월 만에 최소치를 기록했던 전월보다는 증가폭이 소폭 개선됐다.

주요 산업별 종사자 수 동향. 고용노동부 제공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9만 1천 명, +3.9%),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2만 4천 명, +1.9%),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1만 9천 명, +1.6%)이 주로 증가했다. 또 산업 중 가장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은 9천 명(+0.2%) 증가했다.

반면 숙박 및 음식점업(-3만 3천 명, -2.7%), 건설업(-2만 2천 명, -1.5%),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5천 명, -0.9%)은 크게 줄었다. 특히 내수 침체 속에 숙박 및 음식점업은 7개월 연속 감소세로, 감소폭도 커지고 있다.

종사상지위로는 상용근로자는 6만 2천 명(+0.4%), 임시일용근로자는 4만 3천 명(+2.2%), 기타종사자는 3만 명(+2.4%)씩 각각 증가했다.

신규 또는 경력으로 채용되거나 복직·전직한 노동자를 뜻하는 입직자는 101만 명으로 전년동월대비 6천 명(-0.6%) 감소했다.

특히 입직자 중 채용된 경우는 88만 9천 명으로 1만 7천 명(-1.8%)이나 감소했다. 상용직의 경우 35만 2천 명이 채용돼 9천 명(+2.8%) 증가한 반면, 임시일용직은 53만 7천 명으로 2만 6천 명(-4.6%) 감소했다. 이는 건설업 경기가 침체되면서 고용이 감소한 영향으로 보인다.

해고·휴업을 당하거나 사직·퇴직·휴직한 이직자는 100만 6천 명으로 전년보다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 다만 해고 등 비자발적으로 이직한 사례는 56만 1천 명으로 8천 명(+1.5%) 증가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