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7일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어미돼지의 임신 여부를 판정하는 '인공지능 활용 돼지 임신 판정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돼지 임신 여부는 관리자가 인공수정 후 태낭(아기주머니)이 잘 보이는 25일령 이후 자궁 초음파 영상을 판독해 확인해 왔다.
하지만, 관리자의 숙련도에 따라 임신 판정 가능 시기와 정확도가 크게 좌우되고, 비전문가의 경우 28일령 이후에나 임신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진은 20만 점 이상의 고화질(5MHz) 자궁 초음파 영상 정보를 수집하고 인공지능 학습을 수행해 임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연산 방식(알고리즘)을 적용한 인공지능 모델(모형)을 개발했다.
초음파 장비로 어미돼지 복부 초음파 영상을 10초 이상 찍어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면 임신 여부를 인공지능이 판정해 알려주는 방식이다.
농진청은 인공수정 후 22~25일령 기준으로 95% 이상의 정확도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농진청은 이 기술은 기존 전문인력의 임신 판정 업무를 대체함으로써 비전문가 활용, 판정 시간 단축 등을 통해 인건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 어미돼지 사육 마릿수 90만 마리 기준으로 연간 약 33억원의 임금 저감 효과를 기대했다.
또한 임신하지 않은 돼지는 재 인공수정을 통해 비생산일수(어미돼지가 임신 및 새끼에게 젖을 먹이지 않은 채로 있는 기간)를 줄일 수 있어 연간 사료비 약 85억원을 절감하는 효과도 거둘 수 있다고 덧붙였다.
농진청은 해당 기술과 관련해 3건의 특허를 출원했으며, 희망 업체를 대상으로 기술이전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임기순 원장은 "임신 판정 외에도 어미 돼지 체형관리, 아기 돼지 위험 감지 등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생산성을 높이고 사육 비용은 줄일 수 있는 스마트팜 기술을 확대해 양돈농가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