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오월 하나되는 오월"
5·18 44주년을 하루 앞두고 광주 동구 금남로에서 시민난장·오월풍물굿·민주평화대행진 등 전야제 펼쳐졌다.
5·18을 맞아 오월 정신을 몸소 느끼기 위해 금남로를 찾은 시민들의 뜨거운 환호로 추모 열기가 점차 고조됐다.
3천여 명 시민들 '민주평화대행진'…오월정신 계승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을 기념하는 '민주평화대행진'이 5·18 유가족,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국회의원, 자치구청장과 시민 등 3천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17일 오후 5시 광주공원과 북동성당에서 출발해 금남로로 이어졌다.
1980년 5월 18일 당시 계엄령 선포에 맞서 전남대 정문에서 시작된 가두행진을 재현한 '민주평화대행진'에는 오월 유가족들과 제주 4·3, 여순 사건, 부마항쟁등 국가폭력 피해자 유가족과 일제강점기 피해자들, 세월호 참사와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도 함께 했다.
특히 5·18전야제 행사의 꽃이라고도 불리는 대행진에 전국 각지의 민주시민·사회단체·세계민주인권운동가·고려인마을 거주동포·북한이탈주민 등도 동참, 오월정신 계승과 추모 열기가 한층 고조됐다.
'5·18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 '민주주의 공고화'가 적힌 현수막을 들고 행진해 금남로에 도착한 '민주평화대행진' 참가자들은 오월풍물단의 풍물연주에 맞춰 '오월'이 적힌 깃발을 연신 흔들었다.
전 세계에 오월 가치 선포…'광주선언 2024'
이후 전 세계에 오월의 가치를 전달하는 메시지가 담긴 '광주선언 2024'가 발표됐다.
광주선언 2024 선언식에는 5·18민주유공자유족회 양재혁 회장, 미얀마 민족통합정부 진 마 아웅 외교부장관, 광주인권사 수상자 수간티니, 임수정 광주전남여성단체연합 상임대표를 비롯한 각 단체의 대표들과 세월호·이태원참사 유가족들이 발언을 이어갔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오월정신은 불의에 맞서 저항하며 민주주의를 위해 희생한 숭고한 가치"라며 "주먹밥과 헌혈로 대변되는 나눔과 대동정신에 오월정신이 있다"고 인사말을 전했다.
5·18민주유공자유족회 양재혁 회장은 "아직 5월 관련 미완의 과제들이 쌓여있고 5·18의 전국화와 세계화를 향해 갈 길이 아직 멀다"며 "오월을 믿고 사랑해 주신 전 국민에게 오월단체가 새롭게 태어날 모습을 보여드리겠다"고 말했다.
광주인권상 수상자이자 스리랑카에서 여성인권활동가로 활동하고 있는 수간티니는 "5·18민주화운동 덕분에 한국은 민주주의를 이룩했다"며 "빛도, 길도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우리는 연대를 통해 손을 잡고 나아갔으면 한다"고 밝혔다.
광주전남여성단체연합 임수정 상임대표는 "5·18 성폭력 사건 개별보고서는 피해자의 진술에만 의존하고 있다는 이유로 진상규명 결정에 반대한다는 소수 의견이 나왔다"며 "성폭력 피해자의 진술은 끔찍한 고통을 마주하는 용기에서 비롯된다는 점에서 사회가 여성의 목소리를 얼마나 옹호하고 존중해 왔는지 우리가 답할 차례"라고 지적했다.
교육계를 대표에 무대에 오른 이정선 광주시교육감은 "대동정신 계승을 토대로 미래세대가 오월을 기억하고 오월의 가치를 일상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라고 밝혔다. 백정현 광주시고등학생의회 의장은 "일상생활에서 차별과 폭력에 적극적으로 저항하고 약자들을 위한 활동에 참여하며 공감과 연대를 실천하겠다"라고 말했다.
금남로서 5·18·세월호·이태원 참사 유족 끌어안았다
"끝까지 포기하지 맙시다"
오월 정신이 세월호 참사와 이태원 참사를 어루만지는 장면이 연출되는 등 총체극으로 광주 금남로의 5·18 추모 분위기가 절정으로 치닫았다.
이날 오후 7시부터 '언젠가 봄날에 우리 다시 만나리'라는 주제로 진행된 전야제 공연은 '모두의 오월, 하나되는 오월, 오월하다' 세 장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금남로에 펼쳐진 오월, 민주, 인권 세 무대에서는 하나의 음악으로 각기 다른 공연이 열려 시민들의 눈과 귀를 즐겁게 했다.
광주에 거주하고 있음에도 올해 처음으로 전야제를 관람한다는 임광태(40)씨는 "이렇게 많은 시민들이 모여 전야제를 함께 즐길 수 있어 행복하다"며 "광주시민이라면 모두 5·18민주화운동에 대해 잘 알고 관심을 갖고 있지만 이렇게 현장 참여 열기가 뜨거울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5·18 민주화운동 44주년 하루 앞두고 펼쳐진 전야제의 절정은 1980년 5월 자식을 잃은 오월어머니들이 세월호·이태원 참사 유족을 끌어안는 장면이었다.
전야제가 한창 진행되던 17일 오후 7시 50분쯤 오월 어머니들과 세월호·이태원 참사 유족들은 두 개의 다른 무대 위에서 마주 보고 섰다. 세월호·이태원 참사 유족들은 민주평화대행진부터 각자 구분돼 서 있었지만 무대 위에서 세월호 참사 유족들은 이태원 참사 유족들을 보듬는 형태로 대형을 변경했다.
오월 어머니들은 "국가폭력에 가족을 잃은 우리는 여러분의 슬픔을 누구보다 깊게 이해하며 그 고통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며 "우리의 고통은 현재진행형"이라고 말했다.
이태원 참사 유족은 "이태원 특별법이 참사가 발생한 지 550여 일만에 통과됐지만 시작에 불과하다"며 "독재 군부가 총칼의 위협으로 겁박했어도 자랑스러운 광주 시민들이 맞서고 또 맞서 싸운 것처럼 우리도 그 길을 걸어가겠다"라고 답했다.
세월호 참사 유족은 "다시는 우리처럼 눈물을 흘리는 참사 피해자들이 나오지 않기 위해, 우리가 소망하는 민주주의를 지키고 우리가 사랑하는 가족을 지키기 위해 함께 나아가"라고 화답했다.
오월어머니와 이태원 참사, 세월호 참사 유족 순으로 발언을 진행한 뒤 세 유족들은 두 개의 무대 중간에서 만나 서로를 가슴 깊이 끌어안았다. 이들은 포옹하며 서로 "고맙다"는 말을 전하기도 하고 등을 두드리며 다독였다. 이 장면을 지켜보던 광주시민들은 이들에게 응원의 박수를 여러 차례 보냈으며 일부는 자신의 앞을 지나는 유족들을 바라보며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강기정 광주시장도 오월어머니들과 만나기 위해 맞은편 무대로 걸어오는 세월호·이태원 참사 모든 유족을 일일이 끌어안았다.
동신여고 3학년에 재학 중인 추인영(19)양은 "오늘 시험이 끝나서 5·18 전야제 행사를 한다는 소식을 듣고 행사 시작부터 와서 구경하고 있었다"면서 "학교에서 5·18민주화운동을 책으로는 많이 배웠지만 직접 행사에 와보니까 더 뭉클하고 눈물이 날 것 같았다"고 말했다.
서울에 거주하는 정미숙(62)씨는 "5·18정신을 이어받아야 한다는 생각을 다시 할 수 있었다"며 "5·18 행사를 직접 관람하고자 광주를 찾았다"며 "전야제 무대 가운데 뮤지컬이 가장 기억에 남았고 희생자 어머니의 역할을 한 배우의 연기가 인상 깊었다"고 말했다.
한편 5·18 44주년 전야제를 앞두고 광주 금남로에서는 민주평화대행진과 시민난장 등 다채로운 행사가 펼쳐졌다. 광주 금남로에서는 5·18 44주년 전야제를 앞두고 오전 11시부터 시민 난장을 포함한 다양한 식전 행사가 진행됐다. 곳곳에 설치된 조형물과 거리 공연으로 볼거리는 물론 주먹밥 나눔과 체험 부스 등에 많은 시민들이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