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0만 은퇴 쓰나미…60년대생이 온다

[신간] 60년대생이 온다

비아북 제공

1988년 국민연금이 도입된 이후 약 30여 년간 연금을 납부한 60년대생들은 최초의 준비된 노인세대로서 노후 계획을 이행하고 있을까?

금융투자분석 전문가인 저자가 쓴 '60년대생이 온다'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는 한국 사회가 860만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쓰나미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는지 분석한다.

2025년이면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를 넘어서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한다. 2070년이 되면 2명 중 1명은 65세 이상의 고령자가 될 전망이다. 한편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은 2018년 기준 43.4%로 OECD 국가 평균 노인 빈곤율인 13.1%에 비해 크게 앞서고, 세대간 갈등은 점점 심해지는 추세다.

저자는 60년대생을 후진국에서 태어나 3만 달러 선진국에서 퇴직하는 베이비부머 중심 세대이자 고학력의 시작 세대라고 정의한다. 이에 따라 경제 고성장, 민주화를 거쳐 초고령사회의 주역이면서도 1997년 외환위기, 1999년 대우 사태, 2003년 카드채 사태,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글로벌 금융위기를 차례로 겪으며 양극화를 불렀고 부의 축적도 제각각인 이들 세대에 주목한다.

그러면서 이제 막 은퇴 연령에 접어든 60년대생의 미래는 곧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테스트하는 리트머스 시험지와 다름없다면서 풍요 속에 성장해 유례 없는 격차사회를 맞고 있다고 진단한다.

"독립적이고, 경제력이 있으며, 적극적이고, 다양한 취미를 지니고, 여가에 가치를 두며, 다양한 금융상품을 보유하고, 노후를 위해 보유자산을 사용하는" 액티브 시니어 세대의 특성을 살펴보고, 초장수시대로 가는 변곡점에 서 있는 60년대생이 여생의 공백을 지탱할 방법을 제시한다.

저자는 자산전문가답게 '부동산 불패', '아파트 공화국'의 시대가 저물고 있다면서 지속 가능한 노후 생활을 위해 자산 서식지를 옮길 것을 주문한다. 대표적인 예시가 주택연금과 같은 안전자산이다. 아울러 세대 내 양극화와 격차, 세대간 불평등과 갈등 해법을 들여다본다.

저자는 에필로그를 통해, 이들이 일본처럼 '도망치는 세대'가 아닌 '길을 고르는 세대'로 남기를 바란다고 강조한다. 60년대생은 세대간 갈등으로 그 변동성을 키우는 세대가 아니라 세대간 상생으로 변동성을 줄이는 세대가 돼야 하고, 지속 가능한 사회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기에 이들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라고 강조한다.


김경록 지음ㅣ비아북ㅣ248쪽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