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육상양식장 오염부하량 하수처리보다 3.5배 높아

"양식장 3단계거름망 등 저감시설 역할 제대로 못해"
지속가능 양식산업위해 양식장 배출수 수질기준 재설정 필요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 6일 도민의견 수렴을 위한 토론회 개최
송창권 위원장 "양식산업 지속가능한 경쟁력위해 청정해양환경 필요"강조

제주시 구좌읍 모 양식장 배출수로 오염된 인근 바다. 류도성 아나운서

제주지역 수산물(어류) 육상양식시설은 354곳이다. 대부분 넙치류(광어)로 2022년 기준 2만 8670톤이 생산됐다.
 
이 과정에서 생사료 사용에 의한 찌꺼기, 양식생물의 배설물, 죽은 물고기, 약품 사용 등 다양한 양식시설 오염물질이 배출된다.
 
하지만 이들 오염물질은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실제로 제주도의 '육상양식시설 배출수 수질기준 설정 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육상양식시설 주변해역(배출수 방류지점 반경 100m 이내)의 COD(0.99㎎/L) 농도는 배경농도(0.86㎎/L, 인위적 오염원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자연상태의 기본 농도)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오염부하량(6442㎏/일)도 공공하수처리시설(1856㎏/일) 대비 3.5배 높게 조사됐다.

서귀포시청 김달은 환경보호팀장은 지난해 11월 16일 지역내 언론 기고를 통해 "양식장에는 3단계 거름망 등 저감시설이 있지만 저감시설이 지하에 설치되어 있거나 상부 배수로에 설치된 경우에도 유속이 너무 빨라 안전상의 문제로 인하여 저감시설이 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문제를 개선하고 지속가능한 양식산업을 위해 배출수 수줄기준을 새롭게 설정하는 토론회가 제주도의회에서 열렸다.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는 지속가능 양식산업을 위한 '합리적 양식시설 배출수 수질기준 설정 토론회'를 6일 오후 제주도의회 대회의실에서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지난해 11월 30일 '제주특별자치도 수산물 육상양식시설 배출수 수질 기준에 관한 조례안'이 도의회에 제출됨에 따라 도민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통해 환경도시위원회에서 심도있는 검토를 위해 마련됐다.
 
송창권 환경도시위원장은 "양식산업이 '기르는'어업의 대표 주자로 제주 양식장에서 생산된 광어는 국민횟감으로 사랑받아 왔음"을 언급하면서 "양식산업이 보다 더 경쟁력을 갖추고 지속 가능토록 하기 위해서는 제주의 청정 해양환경이 있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6일 오후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가 마련한 양식시설 배출수 수질기준 설정 토론회가 열렸다. 제주도의회 제공

특히 송창권 위원장은 " 제주연안 청정해양환경을 지키기 위해 합리적 양식시설 수질기준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힘들고 어려운 부분이 있겠지만 양식산업이 그 역할을 주도해 주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토론회는 제주대학교 김정현 교수가'제주연안 양식장 배출수로 인한 연안환경의 영향에 관한 최신 연구사례'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이어서 해양시민센터 신수연 센터장은 현장사례 중심으로 '양식장 배출수로 인한 연안오염과 관리의 필요성'에 대해 발표했다.
 
발표 이후 토론은 진희종 생태법인 연구자가 좌장을 맡아 현근탁 제주도 보건환경연구원장과 현재민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장, 김정도 제주환경운동연합 정책국장, 성호경 제주도 어촌계장연합회 회장, 김계숙 제주도 해녀협회 회장, 오동훈 제주어류양식수산업협동조합 상임이사 그리고 고민철 광림수산 대표가 참석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