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문화회관 자체수입 첫 200억원 돌파…창작공연 흥행

세종문화회관 제공
세종문화회관이 1999년 법인화 이후 최초로 자체 수입 200억 원을 돌파했다.

23일 세종문화회관이 공개한 2023년도 예산결산 결과에 따르면, 자체 수입(공연 관람료·대관료·임대 수입)은 전년 대비 18%(34억 원) 증가한 219억 원을 기록했다.

2023년 자체 수입은 공연 수입과 대관 수입이 전년 대비 12% 증가한 112억 원, 후원금과 매장 임대 수입 등 기타 수입이 23% 증가한 107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중 세종문화회관 소속 6개 예술단(서울시국악관현악단·극단·무용단·뮤지컬단·오페라단·합창단) 중심으로 진행한 공연 수입은 전년 대비 14% 증가한 76억 원에 이른다.

세종문화회관은 2022년 2월 대관 중심에서 벗어나 '제작극장'으로의 전환을 선언했다. 6개 예술단 중심으로 자체 공연 제작 비중을 높였고 공연 제작 시스템을 정비해 공연 품질 개선에 집중했다.

그 결과 지난해 6개 예술단 전체 관람객 수는 8만6275명으로 2022년(5만9222명) 대비 46% 증가했다. 공연 수입 역시 33억원으로 2022년(21억 원) 대비 57% 상승했다.

이는 예술단 공연이 흥행에 성공한 덕분이다. 국내에서는 서울시무용단 '일무' 서울시오페라단 '투란도트' 서울시뮤지컬단 '다시, 봄' 서울시합창단 '가곡시대' 서울시극단 '키스'가, 해외에서는 '일무' 뉴욕 공연이 전 회차 매진됐다.

창작 중심 '제작 극장' 비전은 올해도 계속 된다. 2024년 세종 시즌은 6개 예술단 중심으로 29개 작품, 229회 공연으로 구성했다.

아울러 공연장과 미술관의 공실률을 최소화하고 기관 내 임대공간을 적극 발굴한 것도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

안호상 사장은 "광화문광장 개장과 함께 세종문화회관 1층을 활짝 열어 시민에게 친근한 이미지를 구축한 것도 주효했다"며 "차별화된 예술 콘텐츠를 제공해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는 최고 예술공간으로 만들겠다"고 전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