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산후조리원 이용료가 크게 오르면서 전국에서 세 번째로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에 공공산후조리원이 단 한 곳도 마련돼 있지 않은 상황에서 강기정 시장이 후보 시절 공약했던 공공산후조리원 조성을 사실상 철회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2019년 광주지역 산후조리원 2주 평균 이용료는 225만 원으로 전국 평균보다 40만 원 정도 저렴했다.
그러나 올해 6월 기준 산후조리원 이용료는 평균 341만 원으로 전국 평균보다 15만 원이 더 비쌌다.
채 4년도 안 돼 116만 원이 오른 것으로 제주를 제외하고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인상률 51.6%를 기록했다.
17개 광역 시·도 중 중간 수준이던 광주 산후조리원 이용료는 서울과 세종에 이어 전국 3번째로 뛰어올랐다.
같은 기간 전국에서 가장 낮은 인상률을 기록하며 가장 저렴한 산후조리원 이용료를 보인 전남과 좋은 대조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 광주 동구에는 산후조리원이 한 곳도 없어 다른 구에 있는 산후조리원을 이용해야 하는 등 불편을 겪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영주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2021년 기준 산후조리원 이용률이 80%를 넘어서면서 이제 산후조리원은 사실상 필수 시설이 됐다.
산후조리원 이용 산모는 2019년 17만 9986명에서 지난해 18만 4688명으로, 산후조리원 이용률은 2018년 75.1%에서 2021년 81.2%로 크게 늘었다.
하지만 전국적으로 최근 5년간 산후조리원 수는 72개 감소하고 민간산후조리원 평균 이용금액은 62만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영주 의원은 "산후조리원이 없거나 부족한 지역에 거주하는 산모들이 원정 산후조리를 하면서 불편함을 겪고 많은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낮은 출생률로 인해 인구소멸 중인 점을 고려해 산후조리 지원도 인구정책으로 포함시켜, 국가가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
이 같은 상황에서 청소년이나 한부모 가정 등 취약계층을 위한 공공산후조리원의 필요성은 커지고 있지만 전남과 달리 광주에는 공공산후조리원이 한 곳도 없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장애인이나 다문화가정이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산후조리원을 조성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지만 사실상 광주시는 관련 공약을 철회한 상황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지난 6월 광주에 프리미엄 산후조리원 2곳이 개원하면서 산후조리원 평균 이용료가 크게 인상된 것으로 보인다"며 "비용 대비 효용성이 떨어진다는 판단에 공공산후조리원 조성 공약을 철회했다"라고 말했다.
광주시가 공공산후조리원 대신 일부 취약계층에 산후조리원 이용료 50만 원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가운데 산후조리원 이용료가 인상된 상황에서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이 나온다.
한편 올해 공공산후조리원의 평균 비용은 170만 원으로, 민간산후조리원과 비교할 때 156만 원(48%) 더 저렴할 뿐만 아니라 대다수가 매년 요금을 동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