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한 공간에서 신자를 대면하지 않은 채 성사가 이뤄지는 것을 두고 고해성사라고 한다. 영화 '거미집'은 '조용한 가족' '반칙왕' '장화, 홍련' '달콤한 인생'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악마를 보았다' '라스트 스탠드' '밀정' '인랑' 등 9편의 영화를 만들어 오며 감독으로서 그가 느낀 모든 고민과 질문, 경험 등을 담아낸 작품이다. 그리고 극장이라는 특정한 공간에서 관객들을 대면하지 않은 채 자신의 모든 것을 고백(고해)한다.
1970년대, 바로 꿈도 예술도 검열당하던 시대다. 성공적이었던 데뷔작 이후, 악평과 조롱에 시달리던 김열(송강호)은 촬영이 끝난 영화 <거미집>(김지운 감독의 영화 '거미집'과 영화 속 김열의 영화 '거미집'을 구별하기 위해 영화 속 영화는 <거미집>으로 표기한다)새로운 결말에 대한 영감을 주는 꿈을 며칠째 꾸고 있다. 그대로만 찍으면 틀림없이 걸작이 된다는 예감, 그는 딱 이틀간의 추가 촬영을 꿈꾼다.
그러나 대본은 심의에 걸리고, 제작자 백 회장(장영남)은 촬영을 반대한다. 제작사 후계자인 신미도(전여빈)를 설득한 김열은 베테랑 배우 이민자(임수정), 톱스타 강호세(오정세), 떠오르는 스타 한유림(정수정)까지 불러 모아 촬영을 강행하지만, 스케줄 꼬인 배우들은 불만투성이다. 설상가상 출장 갔던 제작자와 검열 담당자까지 들이닥치면서 현장은 아수라장이 된다.
'거미집'은 걸작을 꿈꾸지만 걸작을 만들어낼 역량은 부족한 감독이 욕망과 역량의 불균형 사이에서 끊임없이 흔들리는 큰 줄기를 깔아놓는다. 그리고 감독의 욕망을 위해 모이게 된 배우와 스태프들의 욕망과 좌충우돌을 얹고, 여기에 다시 영화 속 영화인 <거미집> 캐릭터들의 욕망을 쌓으며 다층적인 구조를 만들었다.
영화를 향한 강렬한 욕망과 열정, 불안으로 인해 혼돈과 흥분이 좌충우돌하며 뒤섞이는 '거미집'의 소동극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마치 '카메라를 멈추면 안 돼!'(감독 우에다 신이치로)의 좌충우돌을 떠올리게 만든다. 여기에 스크루볼 코미디처럼 티키타카가 오가는 앙상블 속에서 한바탕 소동극이 벌어지지만, 해피엔딩으로만 볼 수 없는 '거미집'만의 결말로 향한다. 영화를 위한 영화 '바빌론'이 '애증'이었다면, '거미집'은 욕망과 비관, 광기와 분투 속 애정 어린 '희망'을 바란다는 고백에 가깝다.
영화의 중심인물인 김열 감독은 이류감독 취급을 받지만, 어느 날 마치 계시처럼 꿈에서 <거미집>의 새로운 결말을 보게 된다. 그 후 김 감독은 기존에 촬영해 놓은 영화의 결말을 바꾸면 '걸작'이 탄생할 거라는 기이하고도 광기 어린 욕망에 휩싸인다. 김 감독이 자신이 계시처럼 받은 바뀐 결말을 미도에게 이야기하는 장면은 고해성사 그 자체다.
이는 그 자체로 열망과 역량 사이에서 번뇌하는 김열 감독의 고해성사 같기도 하고, 그럼에도 걸작에 대한 욕망을 가진 자신을 구원으로 이끌어 달라는 듯도 보인다. 또 한편으로는 꿈에서 본 바뀐 결말이 걸작으로 이끌어 줄 것이란 광기 어린 믿음처럼 다가오기도 한다. 그만큼 영화는 다양한 은유와 비유, 해석으로 나아갈 수 있는 상징적인 요소들로 가득하다.
단 한 방울만 더해져도 넘쳐흐를 듯 아슬아슬하게 수위를 맞추고 있던 현장 분위기는 후반부로 가면 완벽하게 아수라장의 소동극으로 변모한다. 계속 영화가 궤를 같이하며 달려가던 영화 속 영화 역시 클라이맥스로 다가가며 인물들의 욕망과 광기가 동시다발로 폭발한다. '거미집'과 <거미집>의 클라이맥스는 말 그대로 혼돈과 광기의 집합체다.
욕망과 광기, 회한과 불안이 뒤엉켜 어지러웠던 현장이 만들어낸 영화 속 영화는 관객들의 박수갈채를 받는다. 박수갈채 속 관객석 한가운데 앉아 스크린을 주시하는 김 감독의 얼굴은 욕망과 회한이 오간 내면의 아수라장 속에서 우리가 발견한 것이 무엇이었는지에 따라 다른 표정으로 다가온다.
그것은 자신의 모든 것을 불살라 조금이나마 원하는 것을 얻어냈다는 작은 안도감일 수도 있고, 그렇게까지 자신을 한계 이상으로 밀어붙였음에도 결국 자신의 역량이 욕망을 넘지 못했을 때 오는 자괴감일 수도 있다.
그렇기에 묘하게 혼돈 그 자체인 현장과 소동극에 빠져들 수밖에 없고, 마지막 김열의 얼굴에서 발견할 수 있는 내면은 달라질 수밖에 없다. 결국 김지운 감독이 그리고 싶었던 건 감독의 초상이자 우리의 초상이라는 결론에 다다른다.
'거미집'을 재밌게 만드는 건 이러한 이야기와 은유, 비유와 풍자 외에도 흑백으로 구현된 영화 속 영화 <거미집>이다. 마치 김기영 감독의 '하녀' '화녀' '충녀'와 히치콕 감독의 영화를 섞어놓은 듯한 <거미집>은 생각보다 흥미로워서 화면이 컬러에서 흑백으로 언제 전환될지를 기다리게 된다. 김지운 감독의 말마따나 영화 속 영화가 한 편의 영화로 온전히 세상에 나온다면 어떨까 궁금해진다.
영화 속에서 김지운 감독의 고민과 영화와 배우에 대한 그의 생각을 엿볼 수 있는 지점 역시 흥미롭다. 무엇보다 '거미집'은 영화인과 시네필을 위한 영화라 할 수 있을 만큼 영화란 무엇인지, 영화인이 꿈꾸는 건 무엇인지, 왜 고된 길임을 알면서도 치열하게 그 길을 갈 수밖에 없는지 이야기한다. 영화인의 고뇌 한 편을 엿보고 싶었던 관객에게는 보다 재밌는 영화로 다가갈 것이다.
132분 상영, 9월 27일 개봉, 15세 관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