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오후,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뮤콘 서울 2023'(MU:CON SEOUL 2023)이 열렸다. 둘째 날 스페셜 세션으로 '북유럽 제작자들이 말하는 K의 과거, 현재, 미래'가 진행됐다.
스웨덴 음악 수출을 지원하는 엑스포트 뮤직 스웨덴 CEO이자 스웨덴 그래미 어워드 심사위원인 제스퍼 토르슨, 대규모 송라이팅 캠프 '송:엑스포'(Song:Expo)를 시작한 스파크 사장 로빈 옌센, NCT U '배기 진스'(Baggy Jeans), 에스파 '솔티 & 스위트'(Salty & Sweet), 스트레이 키즈 '말할 수 없는 비밀', 레드벨벳 '줌'(ZOOM) 등 다양한 K팝 곡을 만든 프로듀서 최진석(진바이진), 런던노이즈·아드리안 맥키넌·루이스 프릭 스빈 등을 K팝에 소개한 씽잉비틀 CEO 조미셀이 참석했다.
2010년부터 노르웨이에서 새로운 인재를 발굴하고 세계 무대로 진출시키고자 송라이팅 캠프를 '송:엑스포'를 시작한 옌센은 K팝과의 만남 계기를 "정말 우연"이라고 설명했다. 아시아 음악 시장에 발표된 약 700곡 작업에 참여한 옌센은 2009년 발매된 소녀시대의 '소원을 말해봐'(Genie)를 언급하며 "이게 정말 대단한 팝송이었다"라며 "정말로 어떤 일이 일어날지 몰랐다. 이 노래가 진짜 잘나갔다"라고 말했다.
도쿄에서 열린 소녀시대의 '소원을 말해봐' 무대도 봤다는 옌센은 "하루에 3회 공연한 게 완전히 매진됐다. 하루에 매진을 3번이나 시킨 거다. 소녀시대가 장난 아니구나, 수많은 사람이 소녀시대 스틱(응원 도구)을 들고 계속 노래 따라 부르는데 그런 걸 처음 봤다. 제가 정말 눈물 글썽글썽하면서 '이거 진짜 멋있다. 나 이거(K팝) 계속하고 싶다'라고 생각했다"라고 말했다.
두 번째 이유로는 '멜로디'를 꼽았다. 조미셀은 "북유럽 지역에서 작곡하는 음악 자체가 멜로디가 강조된 측면이 있는데, 멜로디 좋은 음악을 한국 사람들이 되게 좋아해서 이게 잘 매칭됐다고 생각한다"라며 "(북유럽 작곡가들 곡을 통해) 한국 사람들이 조금은 다르지만, 친숙한 노래를 듣게 되어서 좋은 협업이 되었던 것 같다"라고 바라봤다.
최진석 역시 "저도 작곡가이자 프로듀서로서 깨달았던 게, 북유럽 작곡가와 한국 작곡가들 공통점이 많다는 거다. 기본적으로 (한국은) 유교가 주된 문화 양상이라 겸손하고 나보다 나이 많은 사람 존중하고 공경해야 한다는 게 있는데, 그래서 레이블이나 작곡가 간 이야기하는 것도 충분히 존중할 수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 곡이) 40번 정도 재작업 된다고 치면 '다시 해 달라고' '어떻게?' 이래도 저희는 합의하는 거다. 서로를 이해하는 거다. 반복을 통해 더 좋은 작품을 만들어 내는 거다. 노력하면 할수록 결과물이 더 좋은 거니까. 그런 점에서 문화적인 유사성이 있다고 느꼈다"라고 부연했다.
옌센도 "직업윤리가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미국 작곡가들은 한 번 만들어 놓은 다음에 재작업해 달라고 해도 안 바꾼다. (K팝 작업 과정에서) 장문의 이메일을 받았는데 '그래서 새로운 노래를 쓰라고?'란 느낌을 받았다. '계속 바꾸면 원래 거는 아무것도 남지 않겠는데' 싶었지만 초(second) 단위 요청도 받았다"라며 "직업윤리에 따라 재작업하고 요청한 걸 한다.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서 저희 고객이 만족할 수 있게 하고 노래를 발매한다"라고 전했다.
최진석은 작·편곡에 참여한 신곡 '배기 진스'를 하나의 예시로 들었다. 그는 "SM이 제작 프로듀싱을 맡았고 저희가 그걸 제작했다. 노르웨이에 이 노래를 가져가서 다른 작곡가와 협업했는데 전체 핵심 요소를 SM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서로) 어울리게 맞추려고 노력했다. 레이블의 요구는 더 구체화되고, 그걸 맞춰주는 작업 과정도 진화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조미셀은 "K팝 아티스트와 레이블은 확실히 새로운 청자(audience)에 맞추려고 노력하고 있다. 전통적인 K팝 시장은 아시아를 노렸는데 지금은 아시아 밖에서도 K팝에 관심이 커졌다"라며 좀 더 듣기 편한 음악을 내놓는다거나, 라틴 아메리카 음악 요소를 넣고, 서반아어(에스파냐어)를 가사에 넣는 등의 예를 소개했다. 그러면서 "전통적인 K팝 관객만이 아닌, 더 많은 관객에게 어필할 결과물을 내려고 한다"라고 덧붙였다.
옌센은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기간에도 K팝 작업은 가능했다며, 본인이 관리하는 제작자들은 그 기간에 돈을 벌었다고 밝혔다. 옌센은 "2013년에 LA에 살 때 K팝이 뭐냐, 관심 없다는 소리를 들었다. 공동 작업하고 싶지 않다는 말이었는데, 이젠 '어떻게 K팝 작업을 할 수 있을까요?'라고들 한다"라며 달라진 기류를 전했다.
"좋은 노래를 만드는 프로듀서가 되기 위해서는 최소한 1만 시간 이상 투자해야 한다"라는 옌센은 "K팝 노래를 만들기 전에 이 K팝 아티스트가 뭘 하는지 공부하고 노래 만들고 제안해야 한다"라며 "인트로부터 노래를 이해할 수 있고 빨리 느낌 올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