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세대 주식자산 비중 50% 이상 대기업 22곳…롯데·DL은 100%

자녀세대 주식자산 비중 50% 이상, 2013년 12개에서 2023년 22개로 늘어
롯데·한솔·DL·한국타이어, 자녀세대 주식자산 비중 100%

CEO스코어 제공

대기업 집단 총수 일가가 보유한 주식자산 중 자녀 세대 자산 비중이 50%를 넘는 곳이 지난 10년 새 10곳이 늘어 22곳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해당 대기업 집단은 사실상 승계 작업이 끝난 것으로     분석된다.

30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2023년 지정 대기업집단 81개 가운데 비교 가능한 56개 집단을 대상으로 총수 일가 주식자산 승계 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난 7월 말 현재 총수 일가 주식자산 중 자녀 세대의 자산 비중이 50% 이상인 대기업집단은 총 22개로 집계됐다. 2013년 말(12개)과 비교하면 10개 늘었다.

롯데, 한솔, DL, 한국타이어 등 4개 그룹은 자녀세대 주식자산 비중이 100%였다. 50%를 넘는 곳은 △태영(98.4%) △DN(92.0%) △두산(83.7%) △엘지(82.4%) △호반건설(77.9%) △한진(77.8%) △효성(74.7%) △삼성(74.4%) △한화(74.4%) △동원(73.8%) △금호석유화학(72.8%) △신세계(67.5%) △장금상선(64.2%) △DB(61.0%) △엠디엠(60.2%) △세아(51.8%) △엘엑스(50.6%) △현대자동차(50.5%) 등 18곳이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DL △DN △엘지 △한진 △삼성 △한화 △신세계 △장금상선 △엠디엠 △엘엑스 △현대자동차 등 11곳이 50% 이상에 새롭게 추가됐고, 영풍은 10년 전 50.7%에서 48.0%로 줄었다.

10년 새 자녀세대 주식자산 상승폭이 가장 큰 곳은 DL로 58.1%포인트가 늘었다. 이어 △엠디엠(56.8%p↑) △엘지(56.5%p↑) △삼성(52.2%p↑) △한진(51.6%p↑)이 뒤를 이었다.

대기업집단 총수일가의 자녀세대 승계는 크게 △상속·증여 △공익재단 설립 △자녀세대 기업가치 올리기 등의 방식으로 이뤄진 것으로 조사됐다.

상속을 통한 자산승계의 대표적 사례는 자녀세대 주식자산 비중 증가율 3~5위를 차지한 △엘지(56.5%p↑) △삼성(52.2%p↑) △한진(51.6%p↑)이다. 지난 7월 말 현재 이들 기업의 자녀세대 주식자산 비중은 △엘지 82.4% △삼성 74.4% △한진 77.8%다.

엘지는 2018년 구본무 회장 별세 후에 세 자녀(구광모·연경·연수)에게 지분이 상속됐다. 삼성은 2020년 이건희 회장 별세 후 배우자인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과 세 자녀(이재용·부진·서현)에게 상속이 이뤄졌다. 한진은 2019년 조양호 회장 별세 후 배우자인 이명희 전 일우재단 이사장과 세 자녀(조원태·승연·현민)에게 지분이 각각 상속됐다.

공익재단을 통한 승계의 대표적 사례는 DL이다. DL은 지난 2015년과 2016년 이준용 명예회장이 대림(옛 대림코퍼레이션) 주식 42.65%와 2018년 대림씨엔에스 주식 2.31%를 재단에 기부하면서 자녀세대 주식자산 비중이 58.1%p 상승했다.

DL그룹을 사실상 지배하고 있는 기업 대림의 최대주주는 이준용 명예회장의 아들인 이해욱 회장이다. 이해욱 회장이 쥐고 있는 대림의 지분율은 올해 7월 말 기준 52.3%다. 또 이 회장 외에 △대림문화재단(6.2%) △대림학원(2.7%)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0.6%) 등도 대림 지분을 갖고 있다. 이들 재단들은 과거 이준용 명예회장이 보유 주식을 기부했던 곳들이다.

엠디엠은 자녀세대 보유기업의 가치를 높여 승계를 완성한 경우다. 엠디엠은 지난 10년 새 총수 일가 자녀세대 주식자산 비중이 56.8%p나 상승했는데, 이는 문주현 회장의 두 자녀(문현정·초연)가 지분 95.24%를 보유한 엠디엠플러스의 기업 규모(자본총액)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주택건설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오너일가 소유 기업인 엠디엠플러스의 자본총액은 2013년 말 68억원에서 2022년 말 1조3824억원으로 200배 이상 폭증했는데, 문주현 회장 지분은 4.76%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두 자녀 문초연(47.62%), 문현정(47.62%)이 보유중이다.

한편 부모세대 주식자산 비중이 100%인 그룹은 △현대백화점 △네이버 △셀트리온 △코오롱 △이랜드 △교보생명 등 6곳이다.

현대백화점은 지난 2004년 정몽근 명예회장이 장남인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과 차남인 정교선 현대백화점그룹 부회장에게 보유 지분을 증여했다. 2013년 말 기준 승계가 이미 끝난 것으로 평가받은 정지선 회장과 정교선 부회장은 부모세대로 분류됐다.

코오롱은 이웅열 코오롱그룹 회장의 세 자녀(이규호·소윤·소민)가 '메모리오브러브'와 '어바웃피싱' 등 이웅열 회장이 창업한 기업의 지분을 일부 보유하고 있었으나, 메모리오브러브는 청산절차를 진행중이고 어바웃피싱은 자본잠식 상태여서 주식자산을 0으로 집계했다.

교보생명보험은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과 신 회장의 누나(신경애·영애)만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

네이버와 셀트리온, 이랜드는 창업세대가 지분을 모두 갖고 있기 때문에 부모세대 주식비중이 100%다.

한편 지난 7월 말 기준 개인별 주식자산 '톱5'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12조8006억원)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 관장(8조3868억원)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6조2391억원) △이동채 에코프로 창업자 겸 전 회장(6조610억원)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5조3206억원) 등이다.

이중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 관장은 10년 새 주식자산이 가장 많이 증가한 인물 1위와 2위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주식자산은 10년 새 10조2098억원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 관장의 주식자산은 6조9009억원이 늘었다.

이 외에 △이동채 에코프로 전 회장(6조486억원↑)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5조6196억원↑)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겸 이사회 전 의장(5조1200억원↑)이 주식자산 증가 '톱5'에 이름을 올렸다.

이번 조사에서는 2013년 말 기준 보유주식 확인이 어려워 비교가 적합치 않은 집단은 조사대상에서 제외했다.

관계 확인이 불가능한 기타친인척과 독립경영, 승계와 무관한 인물은 제외시켰다. '주식자산' 산정에 있어서는 상장법인은 종가와 주식수의 곱을, 비상장법인은 자본총액과 지분율(보통주)의 곱을 사용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