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이초 사건도?…교사들은 왜 부촌(富村)을 기피하게 됐나

21일 오전 서초구 서이초등학교에 마련된 교사 A씨의 추모공간에 시민들이 헌화를 하고 있다. 황진환 기자

교사들이 한때 선호했던 서울 강남·서초 지역이 이젠 기피지역이 됐다. 무리한 민원을 제기하는 이른바 '힘 있고 돈 있는' 학부모들의 등쌀을 버티지 못하고 하나둘씩 떠나는 것이다.
 
서초구 서이초등학교 1학년 교사 사망 사건의 배경에 학부모의 지나친 민원이 자리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여전하다.
 
21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사들이 강남·서초 지역 근무를 기피하는 현상은 최근 몇 년 사이에 심화했다.
 
지난해 강남구에서 인근 동작구로 학교를 옮긴 모 고교교사 A씨는 "강남 지역 학부모 중에는 법조인 등 권력 있는 전문직은 물론 부유층이 많아 학부모 민원이 많다"며 "특히 조금이라도 자녀에게 불이익을 주면 곧바로 항의가 들어온다. 아마 다른 지역보다 두세 배는 많을 것"이라고 밝혔다. 교사들을 하대하는 경향이 있다고도 했다. 그래서 중견 교사들은 강남을 별로 선호하지 않는다고 한다.

 "법조인 학부모, 판결문 쓰듯 조목조목 따져…교사, 눈치 살피고 크게 위축"

 
21일 오전 서초구 서이초등학교에 마련된 교사 A씨의 추모공간에 시민들이 헌화를 하고 있다. 황진환 기자

지난 3월 타지역에서 서초구에 있는 중학교로 발령받은 B교사는 "학부모 중에 법조계에 계신 분들이 많아서 문제가 생기면 판결문을 쓰듯이 조목조목 학교에 따지고, 담당 교사는 그런 분들을 상대해야 되기 때문에 작은 실수라도 할까봐 노심초사한다. 작은 민원이 들어와도 무슨 문제 생기는 게 두려우니까, 교사들이 학부모들 눈치를 엄청 살피고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을 한다. 그래서 교사들이 많이 위축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교사 생활이 힘들다고 하는데 저희 학교는 '담임을 맡으면 힘든 게 아니라 위험하다'는 말을 한다. 여기서는 굉장히 위험한 소송에 휘말리는 일이 많아 잘못하면 옷을 벗을 수 있다는 의미에서 위험하다라는 말까지 한다. 학부모 민원에 시달리다 명퇴를 한 경우도 여럿 있었다고 전해들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서울 소재 고등학교 교사인 C씨는 "요즘은 오히려 교사들이 강남지역을 기피한다. 강남·서초는 잘 사는 동네고 부모들이 법에 대해서 해박하기 때문에 소송이 유난히 많다. 특히 고등학교 같은 경우는 시험을 봤다하면 시험문제를 탈탈 털어서 어떻게든 트집을 잡는다. 그런 부분들이 교사들한테는 실질적인 위협으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서울교사노조가 21일 공개한 제보 내용을 보면, 서이초에서 학교폭력을 담당했던 한 교사는 학폭사안 처리 당시 한 학부모가 "나 ○○아빠인데 나 뭐 하는 사람인지 알지? 나 변호사야!"라고 했다고 증언했다. 그는 서이초 민원 수준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라며 학교폭력 민원과 관련된 대부분의 학부모가 법조인이었다고 했다. 또 학부모 민원이 너무 많아 대부분 교사가 근무를 매우 어려워했다고 덧붙였다.
 
지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서울지역 초등학교 교사 전·출입 현황을 보면, 강남·서초구에서 다른 자치구로 옮긴 초등학교 교사는 1225명인데 비해, 전입한 교사는 1117명으로 집계됐다.
 

"강남·서초지역 학교 빈 자리는…신규 임용된 새내기 교사들로 충원"

 
결국 이렇게 강남·서초를 떠나 비게 된 자리는 새내기 교사들로 채워지게 된다.
 
동작구 소재 고교 교사 A씨는 "많이 빠져나가 결원이 생긴 곳에는 임용시험을 패스한 신규교사가 많이 배정된다. 이곳에는 신규교사가 거의 없는데, 전 근무지인 강남 소재 고등학교에는 신규교사가 엄청나게 많았다"고 전했다. 반면 서초구 소재 중학교 교사 B씨는 "경력교사들이 저희 학교를 별로 오고 싶어 하지 않아서, 젊은 교사들이 많다"고 밝혔다.
 
더욱이 신입교사들은 교사들이 가장 기피하는 1학년이나 사춘기 학생들이 있는 6학년 담임을 맡게 된다고 한다.
 

"숨진 서이초 1학년 담임도 '펑크난데 배치한 게 아닌가'하는 의심"


A씨는 이번 서이초 1학년 교사 사망사건에 대해서도 뼈 있는 한 마디를 했다. 그는 "고인이 희망해서 1학년에 배치했다고 하는데, 펑크난데 그냥 배치한 게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든다. 신규교사는 직업을 얻었기 때문에 임용된 자체만으로 감사하고 그러잖느냐"고 했다.
 
서이초는 입장문을 통해 "고인의 담임 학년은 본인의 희망대로 배정된 것이며, 담당 업무는 학교폭력 업무가 아닌 나이스 권한 관리 업무였으며, 이 또한 본인이 희망한 업무"라고 밝혀 책임을 회피하려는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았다.

서울시교육청은 강남·서초교육지원청 내 교사 공석이 많이 생김에 따라 오는 2028년 3월 전입 이후부터는 이들 지역에서 전출할 수 있는 최소 근무 기간을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하기로 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