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대학생 40%, 전공 적응·만족감 낮은 '부적응' 유형"

연합뉴스

과학기술 분야 인재 양성의 중요성이 커졌지만 이공계 4년제 대학생의 40%가량은 전공 적응이나 만족도가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직능연)은 31일 '과학기술 잠재적 인재풀의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경로 유형화 및 환경적 영향 탐색' 보고서에서 과학기술 분야 인재들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 직능연의 '한국한국교육고용패널 I',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 등에 나타난 1만 2513명의 표본을 분석했다.
 
과학기술 분야 4년제 대학에 입학한 1343명의 경우 3개 유형으로 분류됐는데 '성취, 적성, 진로탐색, 대학·전공 적응 및 만족감'이 전반적으로 저하된 '부적응' 유형이 38.8%로 가장 많았다.
 
전공-적성 일치도가 높고 진로탐색을 활발히 하는 '고성취-적응' 유형은 23.3%에 그쳤다. 전공 성취 수준이 높고 진로 탐색도 활발히 하지만 전공-적성 일치도나 대학 적응·만족도가 비교적 낮은 '진로탐색' 유형은 38.0%였다.
 
연합뉴스

고교 졸업 후 6년 이내 이공계열에서 학사학위를 마치는 비율은 '고성취-적응' 유형은 54.3%, '부적응' 유형은 34.2%로 나타났다.
 
고교 재학 시 과학기술 계열 진학·직업을 희망한 1883명을 교육적·심리적 특성에 따라 4개 유형으로 나눠 분석을 한 결과, 절반이 넘는 50.7%는 '성취·동기 저하' 유형으로 분류됐다.
 
이어 '고성취-동기 저하' 유형(14.0%), '내신 우수-좋은 학습태도' 유형(9.4%), '성공지향' 유형(25.9%) 순이었다.
 
'성취·동기 저하' 유형은 37%만 이공계 대학에 진학한 데 비해 '고성취-동기 저하' 유형은 83.8%가 이공계에 진학했다.
 
가구소득이나 부모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성취·동기 저하'보다는 '고성취-동기 저하' 유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고, '성취·동기 저하' 유형 중에서도 아버지의 학력이 높으면 이공계 진학률도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수현 직능연 부연구위원은 "이공계 대학 진학을 희망하거나 실제 진학한 학생 상당수가 교육과정이 진행되면서 성취동기가 저하되거나 부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저출생 등으로 과학기술 인력이 급감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중등교육과정에서 양질의 과학기술분야 심화학습과 진로탐색 기회를 확대하고 대학진학 후에도 진로지원을 내실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