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당수 5·18 피해자·유가족…심리·경제적 지원 필요 상태

지난해 5·18 유공자와 유족 실태조사…기초수급자 비율 14.9%
전체 국민 평균 4.9% 3배…외상후스트레스장애도 80%에 달해

광주시가 지난 2022년 11월 30일 광주시청 세미나3실에서 5·18민주화운동 피해자 실태조사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김한영 기자

5·18 유공자나 유족 가운데 기초생활수급자의 비율이 일반 국민과 비교할 때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18 유공자인 70대 A씨는 10년 이상 허리와 목 통증에 시달리다 보니 경제활동은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 A씨의 한달 수입은 기초생활수급자에게 지급되는 60만 원 정도.
 
43년 전 1980년 5·18 당시 계엄군에게 폭행을 당했고, 이로 인해 심리적 트라우마까지 안고 초기 치매 증상으로 일상생활마저 어려운 상황이다.
 
5·18 피해자 A씨는 "43년이 됐는데 아직까지도 육체적·정신적 후유증이 있다"면서 "10년 전부터 아예 일을 하지 못하고 기초생활수급비 60여만 원으로 집에서만 생활하고 있다"고 말했다.
 
50대 B씨는 30년 전 뒤늦게 언니와 오빠가 5·18민주화운동 당시 실종돼 10년 동안 부모님이 시신을 찾아다녔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그 이후 외상후 스트레스에 시달려 치료를 받았다.
 
B씨를 치료했던 심리건강연구소 김석웅 소장은 "B씨의 경우 언니와 오빠가 행방불명됐던 시점이 5·18민주화운동 시점과 일치하고 나머지 사건들을 조합해 보다가 언니와 오빠가 5··18의 피해자라는 사실을 나중에 알게 됐다"며 "B씨 역시 굉장히 슬프고 아프다고 표현했는데 이 역시도 5·18로 인한 심리적 고통에 해당된다"라고 말했다.
 
이처럼 5·18민주화운동 이후 피해자와 유족들이 육체적 부상으로 인한 생활고와 트라우마에 따른 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다.
 
광주시와 전남대 산학협력단은 지난 2022년 7월부터 11월까지 5·18 유공자와 유족 2천여 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기초수급자 비율이 14.9%에 달해 전체 국민 평균(4.9%)보다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실태조사에는 5.18 유공자와 유족 총 4천여 명 가운데 절반 정도가 응답한 것이다.
 
5·18 당시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을 갖고 있다는 응답자는 2명 중 1명꼴로 나타났으며, 이 중에서 고문과 구타 등으로 부상을 당해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을 갖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80%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실태조사에 기반해 5·18 피해자들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전남대 5·18연구소 김희송 교수는 "5.18 피해자들이 실제 경제적으로 어렵다는 것과 겪고 있는 트라우마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현황을 파악해서 이분들의 삶의 질을 개선해줘야 하는 것이 사회와 국가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