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3년동안 빚 급증한 청년층…대출·연체 모두 늘어

연합뉴스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동안 2030 청년층의 빚이 가장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30대 이하 대출 잔액은 514조5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은행권(354조8000억 원)과 2금융권(159조7000억원) 대출을 합친 규모다.

이는 3년 전인 2019년 4분기 404조원(은행 278조1000억원+2금융권 125조9000억원)보다 27.4%나 늘어난 것이다.

30대 이하의 대출 증가세는 대출 잔액이 가장 많은 40대와 비교해도 가파르게 나타났다. 40대는 같은 기간 478조4000억원ㅇ에서 522조6000억원으로 9.2% 늘었다.

60대 이상(25.5%·288조6천억원→362조1천억원), 40대(9.2%·478조4천억원→522조6천억원), 50대(2.3%·451조3천억원→461조6천억원) 등 나머지 모든 연령층보다 높았다.

지난해 말 50대 대출 잔액은 461조6000억 원으로 2019년(451조3000억 원)보다 소폭 증가(2.3%)했다. 다만 60대 이상 고령층 대출이 288조6000억원에서 362조1000억 원로 25.5% 급증해 청년 세대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3년간 1인당 평균 대출액(대출 잔액/차주 수)이 가장 많이 증가한 세대도 30대 이하로 나타났다.

은행권에서 30대 이하 대출자 한 사람당 평균 대출액은 2019년 4분기 5,980만6000원에서 지난해 4분기 7081만8000원으로 18.4% 증가했다. 2금융권에서는 3년 전 4101만 원에서 지난해 말 5413만6000원으로 32%나 뛰었다.

젊은층의 연체율도 상승하며 금융의 잠재적 불안 요소로 지목되고 있다.

은행·2금융권을 통틀어 30대 이하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작년 4분기 현재 0.5%인데, 2020년 4분기 이후 줄곧 0.4%를 유지하다가 0.1%포인트 높아졌다. 40대(0.6%), 50대(0.6%), 60대 이상(0.7%)의 연체율도 작년 말을 기점으로 일제히 상승했다.

앞서 한은은 지난해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앞으로 완화적 금융 여건이 정상화되는 과정(금리 인상 포함)에서 대내외 여건까지 악화할 경우, 취약 차주의 상환능력이 떨어지고 그동안 대출을 크게 늘린 청년층과 자영업자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신용 위험이 커질 우려가 있다"며 20·30대를 지목해 경고한 바 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