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일정상회담에 따른 양국의 관계 개선 기대감과는 달리 2024년부터 쓰일 일본 초등학교 교과서에 "독도는 일본 고유영토이고, 징용 관련해선 강제성이 없었다"는 내용이 실릴 예정이어서 파장이 예상됩니다.
국제팀 최철 기자 나와있습니다.
[앵커]
일본 초등학생들이 내년부터 사용할 교과서에 "독도가 일본의 고유영토이고 한국이 불법점거하고 있다"는 억지주장이 들어간다구요?
[기자]
네, 먼저 독도를 일본의 고유영토라고 못박은 부분이 눈에 띕니다.
그동안 일본 초등학교 교과서에는 독도를 '일본 영토' 또는 '일본 고유영토'로 혼재해 사용해왔는데, 이번에 '일본 고유영토'로 기술을 통일했습니다.
'고유'란 표현이 들어가면 "독도는 역사적으로 한번도 다른 나라의 영토가 된 적이 없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또 일본교과서에는 "독도를 한국이 점거하고 있다"는 내용이 "70년 전부터 불법 점거하고 있다"라고 바뀌어 기술됐습니다.
독도를 한국이 불법적, 한시적으로 점거하고 있다는 걸 강조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은 지도와 같은 시각 자료에서도 부각됐는데요.
다케시마를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 안에 넣어서 표시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일본 영토인 것처럼 보이는 효과를 노렸구요.
그전의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새 교과서에도 울릉도와 독도 사이에 사선으로 경계선을 넣어 울릉도와 독도는 같은 나라의 땅이 아니라는 것을 애써 강조하려고 했습니다.
[앵커]
일제강점기 조선인 징병에 관한 기술도 강제성을 희석하는 방향으로 변경됐죠? 한국이 강제징용 피해자 해결책 발표도 한 마당에 뒤통수를 맞은 느낌이네요.
[기자]
네, '징병'은 말 그대로 국가가 병역 의무자를 강제적으로 징집해 복무시킨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는건데요.
내년부터 쓰일 일본 초등학교 교과서를 보니까 징병 관련 기술에서 '지원'을 추가해 강제성을 약화시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어, "조선인 남성은 일본군의 병사로서 징병됐다"는 기존의 표현이 "조선인 남성은 일본군에 병사로 참가하게 되고, 후에 징병제가 취해졌다"로 변경된 겁니다.
또 교과서에는 "지원해서 병사가 된 조선의 젊은이들"이란 표현도 등장합니다.
이렇게되면 일제강점기에 많은 조선인이 자발적으로 일본군에 참여했고, 더 나아가 "일제가 징병제를 시행하지 않았다"는 인식을 줄 가능성도 생겼습니다.
[앵커]
기존의 교과서와 달라진 내용은 또 어떤게 있을까요?
[기자]
일본 초등학교 교과서에는 위안부에 관한 내용을 애초에 다루지 않았기 때문에 이번에도 그 부분은 크게 달라진 점은 없구요.
새로운 교과서중 일부에서는 고대사 부분을 기술하면서 한국이 일본에 미친 영향을 축소하고, 임진왜란에 관한 기술에서 조선의 피해를 생략해버린 책도 있었습니다.
반면 일제의 한반도 강제 병합과 관련해 "일본의 지배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각지에서 격렬한 저항 운동을 했다"는 내용을 추가한 교과서도 있었습니다.
예전에는 간토대지진과 관련해서 "'조선인이 우물에 독을 넣었다'는 헛소문이 유포돼 많은 조선인이 살해됐다"는 내용이 들어갔었는데, 이런 부분은 빠졌습니다.
[앵커]
우리정부는 이번 일본 초등학교 교과서에 대해 어떤 입장을 냈나요?
[기자]
정부는 깊은 유감과 강력한 항의의 뜻을 나타냈습니다.
외교부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우리 정부는 일본 정부가 지난 수십년 동안 이어온 무리한 주장을 그대로 답습한 초등학교 교과서를 검정 통과시킨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독도는 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적으로 명백한 우리 고유이며, 독도에 대한 일본의 어떠한 주장도 수용할 수 없음을 분명히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징용문제와 관련해서도 "일본이 강제동원 관련 표현 및 서술이 강제성을 희석하는 방향으로 변경된 것에 강한 유감을 표명하며, 일본 정부가 스스로 밝혀온 과거사 관련 사죄와 반성의 정신을 진정성있게 실천해 나가기를 촉구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우리 정부는 "한일 양국 간 건설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관계 구축을 위해서는 젊은 세대의 올바른 역사인식이 기초가 되어야 하는 만큼, 일본 정부는 역사를 직시하는 가운데 미래 세대의 교육에 있어 보다 책임있는 행동을 보여 주어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습니다.
[앵커]
초등학교 교과서가 중요한 이유는 어린 학생들이 이를 통해 가치관을 형성해 나가기 때문이 아닐까요? 그런데 왜곡된 내용을 학습받은 아이들이 나중에 커서 그걸 수정하는데 얼마나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겠습니까. 역사앞에 죄를 지은 적이 있다면 반성을 해야지, 그걸 미래 세대에게까지 굳이 짐으로 넘겨줘야할까요. 지금까지 최철 기자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