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나 낳은 거 후회해?" 워킹맘은 대답하지 못했다

박종민 기자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한 지 19일이 지났다. 한 달이 채 안 되는 기간, 힘들다는 말로도 부족한 시간이었다.

1학년인 딸아이는 낮 12시면 학교가 끝난다. 양가 부모님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상황. 아이를 집에 혼자 둘 수 없어 하루 두 시간 아이를 돌봐주는 선생님을 고용했다.

남은 시간에는 학원들을 보낸다. 소위 학원 뺑뺑이다. 교육도 교육이지만, 엄마 아빠의 퇴근 시간까지 버텨야 하는 '임무'와도 같은 시간이다. 학원들 중간에는 태권도 학원을 끼워넣었다. 태권도 학원 셔틀이 아이를 픽업해 다음 학원으로 보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일을 하면서도 아이가 학원 버스에 제대로 탔는지, 밥은 잘 먹었는지 내내 신경이 쓰였다. 이제 8살. 아직은 어린 아이가 엄마가 퇴근할 때까지 학원들을 전전해야 하는 사실이 괴로웠다. 워킹맘이라는 타이틀이 죄인같았다.

아이를 돌보기 위해 이미 7시 출근, 4시 퇴근을 하고 있는 그는 출근시간을 맞추기 위해 매일 새벽 4시 30분에 일어나 아침을 차린다.

귀가 시간이 빨라진 아이를 돌보려면 몇 시에 퇴근해야 하나. 그럼 또 몇 시에 출근하면 되지? 6시에 출근하려면 새벽 3시 반에는 일어나야 한다는 계산이 나오자 정신이 아득해졌다. 저도 모르게 이 말이 입 밖으로 튀어나왔다.

"00아, 이러다가 엄마 죽으면 어떡하지?"

그의 얼굴을 빤히 바라보던 딸이 되물었다.

"엄마, 애기 낳은 거 후회해?"

머리로는 '아니, 우리 딸 낳은 거 후회 안 하지'라고 말해야 한다고 생각했지만 대답이 나오지 않았다. 자신을 낳은 걸 후회하냐는 질문에 대답을 못하는 엄마라니. 죄책감과 후회, 그리고 알 수 없는 분노가 뒤섞여 몰려왔다.

박종민 기자

남편은 돌봄교실을 신청하면 오후 시간은 조금 여유 있는 것 아니냐고 했다.

하나는 알고 둘은 모르는 소리였다. 신도심과 구도심이 섞여 있는 동네여서 길 건너 옆 동네와는 분위기가 완전히 달랐다. 아이가 다니는 학교는 신도심에 있어 1학년에 12학급, 반 학생도 27명이나 된다고 했다. 아이가 "엄마, 나 아직까지 선생님이랑 따로 얘기 못 해봤어"라고 할 정도로 아이들이 많았다.

학급 인원이 많지만 모두가 돌봄 교실을 선호하는 건 아니었다. 워킹맘에게 돌봄 교실은 필수지만, 아이가 원하는 걸 배울 수 없었다. 커리큘럼이 교육보다는 보육에 방점이 찍혀 있는 듯 했다.

더군다나 엄마들 사이에서 '돌봄 교실 다니는 애들은 맞벌이라 아이들 관리가 잘 안 되니 돌봄 애들이랑은 놀지 말라'는 분위기가 있다고 했다. 우리 아이가 '왕따'가 될 걸 감안하고서 나 편하자고 돌봄 교실을 보낼 수는 없었다.

엄마가 없는 집, 아이들로 북적이는 교실에서 누구도 자신을 챙겨주지 않는 하루를 보내는 딸아이를 생각하며 그는 하루에도 몇 번씩 퇴사를 고민한다.

누군가에게 '무용지물'인 초등 돌봄 교실이 또 다른 워킹맘에게는 '구원'이 되기도 한다.

올해 10살, 3학년이 된 아들은 1, 2학년 때 줄곧 돌봄 교실을 이용해 왔다. 워킹맘인 정모(43)씨는 "돌봄이 됐을 때 서울대 된 것처럼 기뻤다"고 했다. 하지만 3학년이 되니 돌봄은 끝났고, 그는 다가올 방학이 두렵다.

경기도 용인시 대부분의 초등학교는 3학년이 되면 돌봄 교실을 운영하지 않는다. 답답한 마음에 다른 지역의 학교 사례를 찾아봤더니 강원도에서는 6학년까지 돌봄을 확대한다는 기사가 있었다. 학교에 돌봄을 늘려 달라 건의했지만 돌아오는 대답은 "예산, 교실 부족으로 어렵다"였다.

연합뉴스

학기 동안에는 학원 뺑뺑이를 돌리며 퇴근 시간까지 버텼지만 방학에는 어떻게 시간을 채워야 할 지 막막하다. 답답한 마음에 회사 내 3학년 이상 자녀를 둔 직원들을 찾아 상담을 하는 중이다. 그들은 "조부모에 기대거나 시터를 구하거나 각개격파해야 한다"고 현실적인 조언을 했다.

아이를 집에 혼자 두는 경우, 보온 도시락 통에 점심 식사를 해놓고 아이가 꺼내 먹도록 끼니를 챙겨주고 있다고 했다.

워킹맘 최모(39)씨도 아이가 초등학생이다. 남아 있는 육아휴직을 쓰고 싶지만 회사 분위기상 육아휴직을 내겠다는 말이 도저히 나오지 않는다고 했다. 그는 육아수당 10만원처럼 티도 나지 않는 지원금 대신, 엄마들이 아이 돌보는 걸 눈치 보지 않는 분위기를 만드는 데 정부가 돈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은 육아 휴직하면 같은 팀 직원들의 연봉을 일정 부분 올려준다고 하더라고요. 일이 늘어나는 만큼 돈을 더 주는데 그 돈을 정부가 지원하고요. 그럼 엄마도 미안한 마음이 덜 들고, 직원들도 충분히 보상 받으니 좋은 방법 아닐까요?"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