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김도현 변호사 (법무법인 영)
■ 출연 : 임옥임 해설사
◇ 김도현> 전라북도의 아름다움을 걸으면서 만끽하는 명품 여행길. 전라도 천년의 역사와 자연을 담은 길, 전라북도 천리길. 44개로 이루어진 전북 천리길을 매주 하나씩 만나보는 시간입니다. 내 친구 전북 천리길을 소개합니다. 지난주에는 굽이마다 펼쳐지는 아름다운 바다와 노을, 부안 쌍계재 아홉구비길을 다녀왔었죠. 오늘은 무주로 떠나보겠습니다. 오늘 천리길 안내해 주실 분 임옥임 해설사님 자리했습니다. 해설사님, 안녕하세요.
◆ 임옥임>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 김도현> 이렇게 반갑게 시작하지만 저는 사실 오늘 떠나고 싶지 않아요.
◆ 임옥임> 저도 그렇습니다. (웃음)
◇ 김도현> (웃음) 떠나고 싶지 않은 오늘이지만 오늘도 떠나야 합니다. 오늘 소개해 주실 길은 어떤 길이죠?
◇ 김도현> 오늘 소개하는 천리길이 마지막 44번째 길입니다. 그래서 제가 안 떠나고 싶었던 거예요.
◆ 임옥임> (웃음) 그러니까요. 먼저 전라북도 14개 시군에 44개의 천리길 코스로 여행을 다녀오셨잖아요. 그동안 고생 많으셨습니다. 제가 박수 한번 보내드릴게요.
◇ 김도현> (웃음) 저야말로 영광이었습니다.
◆ 임옥임> 대장정의 막을 내리는 것이 오늘이잖아요. 그래서 또 저는 무주의 꾸미지 않은 자연, 그다음 경관들이 그대로 살아있기 때문에 또 그 마지막을 제가 이렇게 소개해 드려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그래서 신나게 한번 걸어보려고 합니다.
◆ 임옥임> 지금 3월 초잖아요. 그러다 보니까 새싹들이 완전 피지는 않았거든요. 그런데 거기 가면 지금 막 움트고 있는 새싹들이 많이 나와 있고 그다음에 그 안쪽으로 들어가다 보면 산에 속살, 그런 것들을 많이 볼 수 있어요. 그래서 지금 걷고 나면 열 밤만 자면 흐드러지게 핀 조팝나무꽃, 벚꽃, 제 얼굴과 닮은 복사꽃 이런 것들이 만발하게 피어있는 것을 보실 수 있어요.
◇ 김도현> 그러면 우리 해설사님과 꼭 닮은 복사꽃을 보러 열흘 있다가 가야 하겠습니다.
◆ 임옥임> 꼭 오세요.
◇ 김도현> 너무 꽃길이, 한 일주일만 있으면 환상적인 꽃길이 되는군요. 우리 어떤 경로로 갈 수 있을까요?
◇ 김도현> 천리길 이정표가 있는 곳에 주차장과 화장실이 있군요.
◆ 임옥임> 네. 그런데 오시는 분들이 화장실을 안 들르고 중간에 있으려니 하고 그냥 무작정 걷는 분들이 계시거든요.
◇ 김도현> 있죠, 있죠.
◆ 임옥임> 그러면 큰일 납니다.
◇ 김도현> (웃음)
◆ 임옥임> (웃음) 중간에 화장실이 없어요. 그래서 꼭 화장실을 시작점에서 이용하셨으면 좋겠다는 말씀을 꼭 드리고 싶어요.
◇ 김도현> 꿀팁입니다. 이렇게 저희가 한번 쭉 걸어볼까요?
◇ 김도현> 15분밖에 안 걸었는데?
◆ 임옥임> 얼마 안 돼요. 거기가 너무 좋아서 2층으로 되어 있는 정자가 보이거든요. 중간중간 해설사 선생님들이 보니까 정자를 많이 추천하는데 거기서 바라봐야 사실은 경치들이 잘 보이거든요. 그래서 정자 위에 올라가면 잠두마을을 정확하게 한 눈에 다 보실 수 있어요.
◇ 김도현> 지금 전북CBS 노컷뉴스 유튜브 채널 들어보시면 나그네들을 위한 쉼터로 지어진 2층 정자와 그 정자에서 내려다보는 마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잠두마을까지 저희가 쫙 봤어요.
◆ 임옥임> 그러고 나서 잠두마을을 살짝 벗어나면 오른쪽으로 내려가는 길이 있어요. 그쪽으로 가면 사과나무 과수원이 있거든요. 그 길을 지나서 용포리로 가면 용포리다리하고 서면마을로 이어지는 천리길이 마지막이 되겠습니다.
◇ 김도현> 경로를 소개해 주시는데 이 잠두마을. 잠두라는 말이 생소해요. 콩인가? 아닌가요? (웃음)
◇ 김도현> 네.
◆ 임옥임> 거기에는 누에를 많이 키웠다는 증거거든요. 무주에도 잠두마실길에는 마을의 지형이 걷는 데서 바라보면 마치 누에의 머리를 닮아서 잠두라는 마을 지명이 생겼거든요. 그래서 누에 머리하고 닮았어요.
◇ 김도현> 진짜로?
◆ 임옥임> 네. 그래서 혹시 역사나 재미난 설화가 있나 싶어서 해설사들은 발로 뛰어야 하잖아요. 그래서 그 마을의 이장님을 찾아갔죠. 이장님한테 여쭤봤어요. 거기에 재미난 유래나 설화 뭐 있나 그랬더니 이장님이 더 웃겨요. 거기는 전라북도 무주잖아요. 충청도와 경계예요.
◇ 김도현> 사투리가 섞여 있어요.
◇ 김도현> 베틀봉이요?
◆ 임옥임> 옛날에 베를 짰던. 우리가 옷감 짤 때 베로 짜잖아요. 그 베틀과 닮았다고 그래서 베틀봉.
◇ 김도현> 이름도 정말 잘 지어.
◆ 임옥임> 맞아요. '거기서 쬐끔만 내려가면 말이여 그 실이 왔다 갔다 해야 되잖여.' 그것 감으려면 꾸리가 있어요, 꾸러미.
◇ 김도현> 아, 꾸러미.
◆ 임옥임> 그 꾸러미를 닮았다고 그래서 꾸리꾸리골이었대요.
◇ 김도현> (웃음) 꾸리골?
◆ 임옥임> 네. 그래서 줄여서 '꾸리골' 이렇게 말씀하시더라고. 그런데 더 재미있는 것이 있어요.
◇ 김도현> 여기서 더?
◇ 김도현> 아프죠. 다리를 계속 왔다 갔다 해야 하니까.
◆ 임옥임> '그래서 그 베를 짜다가 다리를 쭉 펴고 앉았는디 그 다리를 쭉 펴고 있는 형상이 저기여.' 이러시더라고.
◇ 김도현> 거기는 뭐라 그래요?
◆ 임옥임> '저 봉우리를 뭐라고 하는지 알어?' 그래서 '모르겠는데요.' '모르기는 뭘 몰라. 옥녀봉 아니여.' 이러시더라고요. (웃음)
◇ 김도현> (웃음)
◆ 임옥임> 옛날부터 옥녀가 힘이 세다 그랬대요.
◆ 임옥임> 맞아요.
◇ 김도현> 베를 짜다 보면 또 세질 수도 있고 그래서 힘이 좋은 옥녀를. 그래서 옥녀봉이다.
◆ 임옥임> 맞아요.
◇ 김도현> 그렇군요. 듣다 보니까 베틀봉도 베틀봉 같고 꾸리골도 꾸리골 같고 옥녀봉도 옥녀봉 같습니다.
◇ 김도현> 어디서 찬물이 나와요?
◆ 임옥임> 시원한 찬물이 나와서 사람들이 거기에서 옛날에는 약수를 떠먹듯이.
◇ 김도현> 또 거기 옥녀봉 쪽이 물이 좋구나.
◆ 임옥임> 맞아요.
◇ 김도현> 그래서 잠두마을에서는 실제로 누에로 베를 많이 짰어요?
◆ 임옥임> 네. 그때 당시에 저희가 알기로는 잠두마을에 처녀, 총각들이 600명 정도가 거기에서 돈을 벌었었대요. 누에찌기도 하면서 누에를 제일 많이 기르던 마을이 잠두마을이더라고요.
◇ 김도현> 그렇군요.
◆ 임옥임> 그래서 꿀팁 하나가 또 있어요.
◇ 김도현> 여기서요?
◇ 김도현> 아니요.
◆ 임옥임> 제를 지내는 제사가 아니라 실을 뽑아내는, 비단을 뽑아내는.
◇ 김도현> '사'가 실 사 자구나.
◆ 임옥임> 맞아요. 그래서 누에고치에서 실을 뽑아내는 그런 공장이 아직까지 남아있는 곳이 무주예요.
◇ 김도현> 잠두마을에?
◆ 임옥임> 잠두마을에서 10분 정도 무주로 나오면 거기에 전북 제사공장이 있어요.
◇ 김도현> 와, 거기도 한번 들러야 하겠네요.
◆ 임옥임> 들러야 해요.
◇ 김도현> 처녀, 총각들이 그 잠두마을 옆에 있는 제사공장에서 취직해서 돈을 많이 벌었겠어요?
◆ 임옥임> 많이 벌었대요.
◆ 임옥임> 그리고 배로 왔다 갔다 했었잖아요. 그러다 보니까 데이트 장소가 최고였대요.
◇ 김도현> (웃음) 유람선이네, 유람선.
◆ 임옥임> (웃음) 맞아요.
◇ 김도현> 유람선 타고 데이트했다. 그랬군요.
◆ 임옥임> 제사공장이 지금은 뭐로 바뀌었는지 모르시죠? 재미있어요. 뽕다방.
◆ 임옥임> 네.
◇ 김도현> 느낌 있네요.
◆ 임옥임> 느낌 있어요. 잠두마을의 지명하고 거기서 10분 정도만 나오면 무주 내에 제사공장이 있고 거기에서는 또 실을 뽑았던 사람들이 많이 기숙사에서 돈을 벌다 보니까 무주의 총각들이 그때 다 결혼을 했다는 소리가 있어요.
◇ 김도현> (웃음) 그 공장 다니면서?
◆ 임옥임> 네.
◇ 김도현> 그렇군요. 너무 재미있는 얘기네요. 이 길을 걸으면서 꼭 봐야 하는 포인트 3가지도 들어볼게요.
◇ 김도현> 어린 친구들도 위험하지 않게 즐길 수 있겠네요.
◆ 임옥임> 위험하지 않아요. 그래서 래프팅을 제가 볼 수 있는 볼거리로 넣어놨고요.
◇ 김도현> 금방 여름이니까 한번 가봐야겠어요.
◇ 김도현> 네, 예쁘죠.
◆ 임옥임> 그래서 벚꽃길도 보면서 조금 10분 정도만 가면 용포교가 나와요. 용포교는 제가 옛날 사진을 뽑느라 한창 힘이 들었어요. 뭐냐 하면 1939년 이전의 사진들을 찾다 보니까 많이 안 나오더라고요. 거기 소이나루터를 꼭 보셔야 해요.
◇ 김도현> 소이나루터?
◆ 임옥임> 네. 소이나루터가 뭐냐 하면 지금은 우리가 배를 타는 기회가 없잖아요. 없어요. 버스가 지금 잘 다니고 있잖아요. 여기가 37번 국도였거든요. 무주와 금산을 이어주는 유일한 교통수단이었는데 그때는 배를 타고 다녔었거든요. 그래서 옛날 사진을 꼭 보셨으면 좋겠다 싶어서 제가 찾았어요.
◆ 임옥임> 그런데 목선이 있었고 나무로 만든 배가 있었고 그다음에 철선이 있었는데 믿기지 않지만 저기에 우마차. 사람도 실어나르고 우마차도 거기서 탔고 그다음에 버스. 버스도 실었대요.
◇ 김도현> 교통수단이.
◆ 임옥임> 완전한. 그 자리가 소이진나루터거든요.
◇ 김도현> 버스도 싣고 가고 우마차도 싣고 가고?
◆ 임옥임> 네.
◆ 임옥임> 그런데 소이가 무슨 뜻인가 궁금해서. 변호사님도 궁금하잖아요.
◇ 김도현> 그렇네요. 소이나루터.
◆ 임옥임> 소이나루터가 표준말로는 '배가 떠나니 빨리 오시소.'라는 의미를 갖고 있대요. 배가 떠나니까 빨리 타라는 의미.
◇ 김도현> 아, 뱃사공이 '소이! 소이!' 이렇게 부르면 사람들은 '배가 곧 떠나니까 빨리 타야겠다.' 이렇게 알아들었다는 거예요?
◆ 임옥임> 그렇죠.
◇ 김도현> 그렇군요.
◆ 임옥임> 그런데 무주 말로 지금 표현하자면 '얼렁얼렁 오랑께. 배 떠난다는디 뭐하고 있어~.' 이렇게 나왔을 거예요.
◇ 김도현> '어서 오쇼.' 약간 이런 것처럼.
◆ 임옥임> (웃음) 맞아요. 그래서 '빨리 오이소.'라는 것을 옛날에는 우리가 오른쪽에서부터 글을 읽었잖아요. 그래서 소이나루터.
◇ 김도현> 와, 깨알 같네요. 소이나루터 길도 꼭 찾아서 봐야 하겠습니다. 지금 2개 얘기해 주셨는데 하나 더 있어야 해요.
◇ 김도현> 섶다리요?
◆ 임옥임> 풀 섶 자를 쓰는데 임시다리거든요.
◇ 김도현> 다리예요?
◆ 임옥임> 네. 옛날에는 강원도 영월. 영월에는 단종을 보러 가기 위해서 백성들이 임시로 놨던 다리가 섶다리거든요.
◇ 김도현> 임시다리를 섶다리라고 하는군요.
◆ 임옥임> 네. 풀 섶 자를 써서 풀하고 솔 있잖아요. 소나무. 그런 가지들을 꺾어서 흙하고 만들어서 임시다리를 만들어요.
◇ 김도현> 단단하게.
◆ 임옥임> 네. 그런데 여름에는 떠내려가요.
◇ 김도현> 그렇죠. 딱 봐도 떠내려가게 생겼어요. (웃음)
◇ 김도현> 그때그때마다.
◆ 임옥임> 네. 그런데 이 섶다리가 사실은 미국의 CNN방송 있죠. 거기 광고를 내는데 한국에 갔을 때 꼭 봐야 하는 50위 안에 들어가는 것이 무주의 섶다리예요.
◇ 김도현> 장마철에 떠내려가는 이 섶다리가 꼭 봐야 하는 것이었다고요?
◆ 임옥임> 왜냐하면 옛날에는 그 임시다리가 관혼상제가 다 그 안에 포함되어 있거든요.
◇ 김도현> 의미 있는 다리군요.
◆ 임옥임> 네. 왜냐하면 성인식도 다리를 해요. 그다음 혼례도 다리를 건너가면서 하죠. 그다음에 상을 당했을 때 그다음 제사를 지낼 때도 항상 이 다리를 썼기 때문에 반딧불축제 때는 대차리의 서면마을 어르신들이 그 명맥을 잇기 위해서 실제 반딧불축제장에 물이잖아요. 남대천에도 그것을 만들었거든요. 그런데 연세가 많으니까 지금 그 명맥을 많이 이을 수가 없어서 아쉬움이 좀 많이 있어요.
◆ 임옥임> 그래서 아무나 못 맡겨요.
◇ 김도현> 정말 아쉽네요. 배울 사람들이 있으면 참 좋을 텐데.
◆ 임옥임> 맞아요.
◇ 김도현> 서면마을의 섶다리와 소이진나루터까지 들어봤습니다. 마지막으로 어떤 길인지 한마디로 정의한다면요?
◇ 김도현> 먹는 엿이요?
◆ 임옥임> 엿. 그때 당시에는 엿도 귀했어요. 고무신 새것은 안 받아주니까 혼날까 봐 시멘트에 막 비벼서 엿장수한테 팔아먹다가 뒤지게 혼나고요. 그런 것들 기억이 많이 나더라고요.
◇ 김도현> 그렇네요. 우리네 인생이 그대로 묻어있는 길입니다. 이 길을 걷고 난 후에 꼭 먹어야 하는 음식이 있다면요?
◇ 김도현> 듣기만 해도 침이 꼴깍 넘어가는데 지금 전북CBS 노컷뉴스 유튜브 채널에 아주 산채 한상이 차려져 있네요. 어디부터 젓가락이 가야 할지 모르겠어요.
◆ 임옥임> 맞아요. 저기 무주에 오시면 저것뿐만 아니라 능이백숙 잘하는 분도 계시거든요. 버섯전골도 잘하니까 변호사님 시간 돼서 다른 데는 다 돌아보셨더라고요. 무주 아직 안 돌아보셨죠?
◇ 김도현> (웃음) 무주 한번 가보겠습니다.
◆ 임옥임> 꼭 오세요.
◇ 김도현> 네. 이렇게 멋진 무주가 매력도시로 선정이 됐다고요.
◇ 김도현> 아, 점수가 다 들어가는군요.
◆ 임옥임> 네, 그랬었는데 작년에 100%가 올라갔어요. 한 가지만 있는 것이 아니므로 관광코스 그다음에 해설사들의 자질 그다음에 숙박, 안전 이런 것까지 다 포함돼서.
◇ 김도현> 전 영역 만점을 받았네요.
◆ 임옥임> 네. 그래서 매력도시 1등급으로 선정돼서 자부심이 대단합니다.
◇ 김도현> 축하드립니다.
◆ 임옥임> 맞아요.
◆ 임옥임> 맞아요. 올해 잠두마실길.
◇ 김도현> 무주에만 있어요. 무주에만 있는 반딧불.
◆ 임옥임> 그렇죠. 무주에만 있어야 해요.
◇ 김도현> 무주 출신.
◆ 임옥임> 맞아요. (웃음) 무주 출신이어야 해요. 반딧불축제는 여기저기 지자체마다 하고는 있는데 얘네들이 무주에서 살아야만 천연기념물이 돼요. 얘가 만약에 다리를 건너서 금산으로 갔다 그러면 걔는 그냥 개똥벌레예요.
◇ 김도현> 그냥 반딧불.
◆ 임옥임> 그렇죠. 개똥벌거지. 다시 금산에서 무주로 오면 천연기념물.
◇ 김도현> 귀한 아이. (웃음)
◆ 임옥임> 귀한 아이로 대접받게 되죠. 올해는 날짜가 9월 2일부터 9월 10일까지 열릴 예정으로 있거든요. 금강 마실길 있죠. 그 앞이 사실은 반딧불이 서식지예요.
◆ 임옥임> 미리 와도 안 나와요.
◇ 김도현> 아니, 한번 가보고 다음에 9월에 왔을 때 익숙한 길이니까 더 찾아볼 수 있지 않을까요? (웃음)
◆ 임옥임> 아, 그렇죠. 반딧불이가 나오는 장소가 여러 군데 있거든요. 9월에 나오는 반딧불이는 또 따로 있어요.
◇ 김도현> 늦반딧불이도 있었는데.
◆ 임옥임> 맞아요. 늦반딧불이가 9월에 나오거든요. 그때 올 때 꼭 전화주세요.
◇ 김도현> 알겠습니다. (웃음) 9월이 빨리. 9월 또 금방 오거든요.
◆ 임옥임> 금방 와요.
◇ 김도현> 지금 3월이라서 9월 언제 와. 눈 깜짝 하면 또 9월이에요.
◆ 임옥임> 맞아요.
◆ 임옥임> 제가 마지막 방송이라서 그런지 긴장도 많이 되기도 하고 무주를 꼭 오셔야 볼 수 있는 것들이 많이 있거든요. 저하고 약속하세요.
◇ 김도현> 네, 갑니다. 무주 갑니다.
◆ 임옥임> 무주 꼭 오세요.
◇ 김도현> 제가 임옥임 해설사님을 뵙고 모자도 너무 멋지시고 해설사님 모자하고 조끼도 너무 예쁘고 표찰 같은 것도.
◆ 임옥임> 예쁘죠?
◇ 김도현> 너무 예뻐서 나도 해설사 쪽으로 방향을 한번 틀어볼까 생각했는데 너무 멋지셔서.
◆ 임옥임> 자리 하나 있습니다.
◇ 김도현> 아, TO 있어요?
◆ 임옥임> 네. (웃음)
◇ 김도현> (웃음) 알겠습니다. 한번 노려보겠습니다.
◆ 임옥임> 감사합니다.
◇ 김도현> 지난해 5월부터 해설사님들과 함께 걸었던 전라북도 천리길 오늘이 마지막 시간입니다. 그동안 해설사님들과의 시간이 주마등처럼 스쳐 가는데요. 다들 보고 계시죠? 모두 너무 뵙고 싶습니다. 날도 따뜻해지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걷기 좋은 날씨가 오고 있다는 거예요. 청취자 여러분 그리고 전북 천리길 해설사님들 우리 모두 전북 천리길에서 만나요!
◆ 임옥임> 만나요!
◇ 김도현> 감사합니다.
◆ 임옥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