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무인기가 2017년 이후 5년 만에 우리 영공을 침범함으로써 다양한 도발 행태로 남측의 대응 태세를 시험하고 긴장을 조성하려는 북한의 의도를 보여줬다.
합동참모본부는 26일 오전 10시 25분쯤부터 경기도 일대에서 북한 무인기로 추정되는 미상 항적 수개를 포착하고 대응에 나섰다.
군 당국은 경고방송과 경고사격을 수차례 하고 공군 전투기와 공격헬기 등을 동원해 격추 작전에 나섰다. 하지만 일몰 후인 오후 7시 현재까지 격추되거나 추락한 기체는 없었다.
이들 무인기는 경기 김포, 파주와 강화도 일대를 비행했고 각기 다른 형태의 항적으로 민간인 거주지역까지 접근하기도 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오전 11시 39분 공군 원주기지에서 KA-1 경공격기가 이륙 중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전투기는 북한 무인기 대응 작전을 위해 출격 중이었고 조종사들은 무사히 탈출했다.
뿐만 아니라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국제공항에선 오후 1시 이후 항공기 이륙 중단 조치가 내려졌다가 약 1시간 만에 운항이 재개됐다.
북한의 무인기 도발은 2014년과 2017년에도 있었다. 구체적 제원은 기체를 확보해야 파악 가능하겠지만 상당한 성능 개량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2014년 경기 파주, 인천 백령도, 강원 삼척에서 추락한 채 발견된 무인기는 조약한 기술 수준이었다. 따라서 결함 탓인지 연료도 남아있는 상태로 추락했다.
2017년 경북 성주까지 내려가 주한미군 사드 기지를 촬영하고 복귀하다 강원 인제에서 추락한 무인기는 쌍발 엔진을 달아 항속거리가 크게 늘어났다.
이번에 포착된 무인기는 장시간 비행에도 추락하지 않는 점만 보더라도 지난 5년 사이에 적지않은 기술적 진화가 이뤄진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여러 대의 무인기가 동시에 다양한 항적을 그리며 일종의 회피 기동을 한 점으로 미뤄 작전 능력 면에서도 꽤 발전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무인기는 격추 과정에서 민간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전시가 아니라면 대응 작전에 제한이 있고, 소형이기 때문에 포착이나 발견 자체가 어렵다.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양측 모두 소형 드론을 활용해 '가성비' 높은 작전을 구사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북한 역시 우크라이나 전쟁 사례를 참고하고 이를 한반도 지형지물에서 실전 운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 무인기 도발은 지난 15일 대출력 고체엔진 시험과 18일 중거리탄도미사일(MRBM) 발사 및 정찰사진 공개에 이어 20일 김여정의 막말 담화의 연장선이기도 하다.
7차 핵실험 가능성을 여전히 유지한 채 사거리와 정확도 등 미사일 능력 향상에 매진하면서도 무인기 침범이라는 저강도 도발로 허를 찌른 셈이다.
북한으로선 불시에 다양한 형태로 강약까지 조절해가며 도발을 가함으로써 남측의 피로감을 높이고 긴장을 유지하는 게 가능하다.
성탄절 이브인 24일 '전통적' 방식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에 이어 이틀 만에 무인기를 투입하는 혼용 전술로 효과를 극대화하려한 것이다.
북한의 이번 도발은 남측이 자신들의 정찰위성기술을 평가절하한 것에 대한 나름의 전술적 보복이라고 할 수도 있다. 소형 무인기가 남한 상공을 장시간 누비고 다녔지만 멀쩡했음을 보여주려 한 셈이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20일 담화에서 "(남한이) '정밀 추적 감시'요 뭐요 해도 언제 한 번 사전에 무엇을 발표해본 적이 있고 발사체 기종이나 발사 위치 한번 제대로 밝힌 적이 있었는가"라며 남한 당국을 비꼬았다.
차두현 아산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북한에) 허를 찔린 것도 맞고 대응이 깔끔하지 못했던 것도 사실"이라면서 "향후 우리의 신경을 건드리고 대북정책에 대한 국내 여론 분열 유도 목적으로 향후에도 저런 재래식 도발을 할 가능성이 다분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