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수소상용차 3만대, 액화수소충전소 70개 보급

수소차 충전. 연합뉴스

오는 2030년까지 수소상용차 3만대와 액화수소충전소 70개소를 보급하는 등의 수소경제 세부실행방안이 마련됐다.

정부는 9일 오후 서울 롯데호텔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수소경제 정책방향과 세부실행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먼저 오는 2030년까지 현재 211대인 수소상용차를 3만대로 늘리고, 액화수소충전소 70개소를 보급하기로 했다. 청정수소발전 비중은 오는 2036년까지 7.1%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30년에 47.1조원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9.8만명의 고용 창출, 온실가스 약 2800만톤 감축 등의 효과를 기대했다.
 
정부는 또 수소 50%와 암모니아 20% 이상 혼소발전(두 가지 이상의 연료로 전기 생산)을 위해 오는 2027년까지 기술 개발과 실증을 마치고 2028년부터 단계적으로 혼소발전을 확산하기로 했다.

수소 유통 인프라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세계 최대 수준인 연 4만톤 규모의 액화수소 플랜트를 구축하고 2030년까지 석탄발전소 밀집지역에 연 400만톤급 암모니아 인수기지, LNG발전소 밀집지역에 연 10만톤급 액화수소 인수기지와 수소 전용 배관망을 만들기로 했다.

이와 함께 2026년까지 친환경 암모니아 추진운반선, 2029년까지 액화수소 운반선을 건조하는 등 청정수소와 암모니아의 해상운송을 실현하기로 했다.
 
정부는 수소산업 육성을 위해 선진국 수준의 핵심 기반기술 확보와 글로벌 1위 품목 10개 달성, 수소전문기업 600개 육성 등을 목표로 내걸었다.

이를 위해 수전해와 액화수소운송선, 트레일러, 충전소, 연료전지, 수소터빈 등 성장 가능성과 연관산업효과가 큰 분야의 기술개발을 집중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정부는 수소 분야 초격차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수소 생산기술 중 기술성숙도가 높은 알칼라인 수전해와 고분자전해질(PEM) 수전해 기술을 우선 국산화하는 등 현재 60%인 수전해 기술 국산화율을 2030년 100%까지 높이기로 했다.

대륙간 수소 교역을 위한 해상 수소운반선 가술 고도화를 위해 수소 액화와 액체수소 저장 기술 등을 개발하고, 수소 육상운송을 위해서는 기체수소 튜브트레일러 고도화와 액체수소 튜브트레일러 상용화를 추진한다.

세계 수소전기차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현재 16만킬로미터인 수소트럭 내구연한을 2030년에는 890만킬로미터까지 늘리는 등 연비와 내구연한, 주행거리 개선 연구를 지원하기로 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