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 싣는 순서 |
① 여순, 또 다른 비극의 서막…대를 거친 악몽 어디까지 이어졌나 ② "지리산에 산다고 끌고 가 맥없이 죽였어"…끝나지 않은 여순 ③ 생지옥 임실 폐광굴 '오소리 작전'…"민간인 600명 몰살" ④ 핏빛으로 물든 지리산…"보이는 건 모두 적, 섬멸하라" (계속) |
빨치산, 그들은 왜 지리산으로 들어갔나
예로부터 어머니의 산으로 불리는 지리산, 하지만 여순사건과 이어지며 비극이 서려 있는 곳이기도 하다.서쪽으로 전북 남원과 동쪽으로 경남 함양·산청, 남쪽으로 전남 구례와 경남 하동까지 3개 도가 인접해있다. 면적만 483㎢로, 1억 4천 평이 넘는다. 여의도의 52배다.
산세가 워낙 크고 깊은 지리산은 험준한 지형만큼이나 한국 현대사의 굴곡진 역사와도 맥을 같이 한다.
1948년 10월 여순사건이 있기 전 일제에 이은 미군정의 쌀 수탈 등에 반발해 지리산으로 숨어든 이들이 있었다. 이들이 빨치산의 시작인 야산대다.
여순사건위원회 주철희 소위원장은 "미군정이 들어와서 1946년 1월부터 다시 일제가 시행했던 공출제(미곡 수탈 제도)를 그대로 시행한다"며 "1946년 초반부터 이들을 피해서 산으로 들어서는 사람이 생긴다. 이들이 야산대다. 지리산, 백운산에 야산대가 존재했다"고 설명했다.
군과 경찰이 이러한 야산대 즉, 빨치산을 대대적으로 토벌하게 되는 계기가 바로 여순사건이다.
여순 국방경비대 제14연대에게 "제주 4.3 사건을 진압하라"며 "제주도로 가라"는 명령이 내려온 건 1948년 10월 19일. 14연대는 좌익계 군인들을 중심으로 "같은 국민끼리 싸우고 죽일 수 없다"며 국가의 명령을 거부한다. 스스로 반란군이 돼 제주도민이 아닌 명령권자를 향해 총을 겨눴다.
이후 정부는 계엄령을 선포했고 고립된 여순 14연대의 반란은 일주일 만에 진압당했다. 그리고 이들은 군경과 크고 작은 전투를 치르며 여수·순천에서 구례를 지나 지리산으로 숨어 들어갔다.
성공회대 민주자료관 정찬대 연구위원은 "지리적으로 (지리산은) 무장대가 은거하기 좋은 장소였고 무장대가 북에서 백두대간을 타고 지리산까지 내려왔다"며 "(지리산은) 굉장히 요충지였다"고 설명했다.
이들이 바로 한국전쟁 전에 생겨난 구(舊) 빨치산이다.
극동아시아를 무대로 펼쳐진 미소 냉전, 대립의 끝은 결국 전쟁이었다. 1950년 6월 25일 강대국의 대리전인 한국전쟁이 발발했다. 38선을 기점으로 남과 북이 대치 중이던 1950년 9월 15일 인천 상륙작전이 성공하면서 북한군 일부는 남한에 갇히게 됐다.
이렇게 신(新)빨치산들이 지리산으로 들어갔다.
한국전쟁 전후, 빨치산들은 남한 정부의 정통성과 후방 치안에 큰 걸림돌로 존재했다.
보이는 건 다 적이었던 군경…초토화 작전에 민간인도
남북분단 뒤 이승만의 남한 정권은 서구열강에게 정통성을 인정받아야 했다. 이에 정부는 제주4·3과 여순사건까지 눈엣가시 같은 빨치산을 토벌하기에 이른다.여순사건위원회 주철희 소위원장은 "전쟁이 터지기 전 이승만 정부가 주도적으로 했던 것 가운데 하나가 '우리 남쪽의 정통성'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정통성은 우리만의 주장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UN의 인정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제주 4·3사건이 해결되지 않아서 UN에서 정부를 인정하지 않고 있는데 갑자기 또 여순사건이 터진 것"이라며 "정부는 통치 능력을 보여줘야 했기에 초토화해야 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통치 능력의 실험대가 된 것"이라며 "UN으로부터 합법적인 정부를 인정받기 위해서 굉장히 많은 민간인 학살이 벌어진다"고 했다.
그러나 지리산의 산세를 이용한 빨치산의 게릴라 전술에 군경의 토벌 작전은 쉽지 않았다.
빨치산의 게릴라 전술에 번번이 당하던 군경은 은거한 빨치산을 격파하기 위해 적이 사용할 모든 물자와 식량을 없애는 '견벽청야 전술'을 시작한다.
지나간 자리는 모두 휩쓸고 초토화시켜버리는 청야 전술. 이 청야 전술에 지리산 지역의 마을주민 즉, 민간인도 포함되면서 학살이 이어졌다.
정찬대 연구위원은 "소개 작전을 하면 군인 입장에서는 '누가 적으로 돌변할 줄 모른다'는 위기의식이 있다"며 "나중에는 군인들이 기계적으로 학살을 한다"고 말했다.
이어 "죄의식을 갖지 않고 학살하는 단계까지 이르기에 군경의 토벌은 당연히 민간인 학살의 피해를 가져올 수밖에 없는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전쟁이 끝나고도 지리산에선 빨치산을 토벌하는 또 다른 전쟁은 계속됐다. 빨치산을 토벌하기 위해 백선엽 장군이 이끈 백야전투사령부가 다시 남원으로 내려온다.
백선엽 장군이 이끄는 백야사는 견벽청야 전술과 유사한 '쥐잡기 작전(Operation Rat Killer)'을 실시한다.
"지리산에서 보이는 것은 모두 적"이라며 "섬멸하라"는 명령.
백야사는 쥐를 몰듯이 지리산을 포위하고 올라가기 시작했다. 남원과 구례 운봉, 함양에서 출발한 군경은 노고단 반야봉 지리산 정상으로 향한다.
남한 정권과 빨치산 그리고 지리산의 지형적 조건이 맞물려 수많은 민간인 학살이 자행됐던 것이다.
진실화해위원회의 2010년 상반기 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간 백야사는 6천여 명을 사살하고 7천여 명을 포로로 잡았다. 미군 측은 군경이 9천여 명을 사살했다고 보고 있다.
4천여 명의 빨치산이 있을 것이라 예상했지만, 그 4배에 달하는 1만 5천여 명이 사살되거나 포로로 잡혔다. 민간에선 이 가운데 상당수가 토벌을 피해 지리산으로 피란했던 일반 주민이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밤낮으로 시달린 주민들…"낮에는 군이 밤에는 빨치산이"
지리산의 마을주민들은 빨치산과 군경 양쪽 모두에게 피해를 봤다. 밤이면 빨치산들이 먹을 것과 입을 것, 덮을 것을 빼앗으려 깊은 산에서 마을로 내려왔다.주민들은 하나같이 말한다. "낮에는 군이 들어오고 밤에는 빨치산이 활개를 쳤다" 그러나 군경은 빨치산과 민간인을 구별하지 않았다.
정찬대 연구위원은 "학살의 주체는 군과 경, 우익청년단"이라며 "보복 학살이라는 양면적 측면 있으나 좌익에 의한 피해보다는 군경에 의한 피해가 훨씬 크다"고 말했다.
이어 "학살의 피해 비율을 보게 되면 거의 8대2에서 9대1까지 본다"며 "좌익에 의한 피해 보단 군경과 우익에 의한 피해가 훨씬 광범위하고 많았다"고 덧붙여 설명했다.
이유 불문. 군경은 마을 청년들을 끌고 가 총살했다. 청년들을 죽인 것도 모자라 빨치산이 물자를 얻어갈 수 없게 온 마을에 불을 질렀다. 군경은 살아남은 민간인을 경찰서나 파출소로 끌고 가 갖은 고문을 했다.
"진실만이라도 밝혀졌으면 좋겠어"
70년이나 흘렀지만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진실이 있다.정찬대 연구위원은 "진화위를 보니 진실규명 신청 건수가 지금 1만 3천여 건"이라며 "여순에서도 위원회를 꾸려 활동하고 있는데 아직 신청을 안 하신 분들도 굉장히 많다"고 말했다.
이어 "가족과 자식들에게 혹시라도 피해가 갈까 응어리진 채로 지내시는 분들이 굉장히 많다"며 "꺼내기 고통스러워 이 사건을 밝히지 않은 분까지 추산할 방법은 없다. 여전히 피해를 받고 진실 규명을 못 받은 경우가 많다"고 덧붙였다.
2기 진실화해위원회가 출범한 지 2년. 민간인 학살 피해를 본 유족들은 진실만이라도 밝혀달라는 외침을 수십 년째 이어오고 있다.
"진실만이라도 밝혀졌으면 좋겠어" 배상과 보상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 한 유족은 고개를 흔들며 "원하는 건 진실 단 하나뿐"이라고 말을 맺었다.
※이 영상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광고 수수료를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