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1%p오르면 가계대출 26조8천억원 감소

1인당 대출 증가폭 294만→138만원으로 감소

서울시내 한 은행 대출창구 모습. 황진환 기자

대출금리가 3% 수준에서 1%포인트 오르면 대출자 1인당 가계대출 증가 폭이 156만원 가량 줄어드는 등 대출 증가 억제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소득이 높거나 부채 비율이 높을수록 금리에 더 민감하게 반응했고, 코로나19 이전보다 이후에 이러한 금리 민감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30일 조사통계월보에 실린 '가계대출의 금리민감도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총량·미시자료를 활용해 추정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2012년 이후 가계대출 변동(전기대비 증감)과 대출금리 간 움직임을 살펴본 결과 가계대출 변동 폭은 통상 대출금리가 하락할 경우 확대되고 상승 시에는 축소되는 등 금리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였다.

구체적으로 금리 상승기에 금리 민감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대출금리가 1%p 상승할 경우 가계대출 변동 폭은 26조8천억 축소되지만, 하락 시에는 13조8천억원 확대되는 데 그쳤다.

차주별로는 소득수준과 소득대비가계대출비율(LTI)이 높고, 비취약차주일수록 금리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이들은 생계유지보다는 부동산 구입이나 사업자금 등의 목적으로 대출을 받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금리 인상에 더 민감한 것으로 분석됐다. 대출금리가 1%p 오르면 고소득 차주의 대출 증가 폭은 221만원 줄었지만 중소득 차주는 56만원, 저소득차주는 38만원 감소했다.

보고서는 차주 특성 외에도 자산가격 변화와 대출금리 구조, 경제상황 등 다양한 요인을 감안해 추가로 패널 분석을 시도했다.

역시 대출금리 상승은 가계대출 증가 폭을 제약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금리 상승 시 가계대출 증가 억제 효과는 금리 수준이 높아질수록 확대됐다. 2012년 1분기부터 지난해 3분기까지 대출금리가 3% 수준에 있으면 1분기 동안 차주당 가계대출은 평균 294만원 증가했다.

그러나 금리가 0.5%p, 1%p 상승하면 가계대출 증가 폭은 각각 227만원과 138만원 수준으로 감소하면서 대출 증가율이 더 크게 둔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전체 가계대출로 환산하면 대출금리가 3% 수준에 있을 때 한 분기 동안 가계대출은 34조1천억원 증가했지만 금리가 0.5%p 오르면 증가폭이 26조3천억원으로, 1%p 오르면 16조원 수준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추정됐다.

황진환 기자

금리 민감도는 코로나19 이후 더 높아졌다. 고소득·고레버리지 등 금리 민감도가 높은 차주의 대출 비중이 높아진데다, 코로나19 이후 자산가격 상승 등으로 레버리지 투자가 늘어난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보고서는 "금리상승의 가계대출 억제 효과가 금융불균형이 축적된 상황에서 보다 뚜렷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난해 하반기 이후 기준금리 인상이 가계부채 및 금융불균형 완화에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다만 취약계층은 금리상승으로 채무상환부담이 크게 늘어날 수 있고, 이들에 대한 대출 비중이 높은 비은행금융기관의 자산건전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 만큼 취약부문의 신용위험 증대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