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잊어가는 아이들…주말학교 대안으로 급부상

中 전역에 흩어지면서 우리말 교육 어려움
주말에 도시 아이들에게 한글 교육
베이징 상하이 칭다오 등 주요 도시에 설립
경험 노하우 공유위해 협의체도 결성
"주말학교가 민족문화의 중심이 되어야"

▶ 글 싣는 순서
①한 핏줄부터 우리말 하는 중국인이라는 생각까지
②"이거 먹어 봤어?"부터 "한국 좋은 사람 많아"까지
③[르포]옌지는 지금 공사중…조선족의 서울 옌지를 가다
④만주로 건너간 선조들은 어떻게 조선족이 되었나
⑤중국 동북지역 개척자…황무지를 옥토로
⑥문화혁명 암흑기 건너 개혁개방의 주체로
⑦조선족의 자랑 연변대학과 주덕해
⑧동북은 비좁아…中 각지로 세계로 진출한 조선족
⑨조선족 세계화·전국화 좋은데…없어지는 그들의 고향
⑩中 최대 조선족 마을 만융촌을 가다
⑪성공의 이면에 잊혀지는 우리말과 문화…정체성 위기
⑫중국어 교재·중국말로 수업…무늬만 '조선족학교'
⑬우리말 잊어가는 아이들…주말학교 대안으로 급부상
(계속)

베이징에서 한국 교민과 조선족 동포들이 많이 사는 왕징에 있는 한 상가 건물 3층에 북경정음우리말학교가 있다. 주중에는 중국 아이들을 가르치는 학원이지만 주말엔 조선족 자녀들을 위한 한글학교로 변신한다.
 
지난 17일 오후 기자가 정음학교를 방문했을 때는 오후반 수업이 막 시작되려는 시간이었다. 다섯 개 교실마다 아이들이 모여들기 시작했고 선생님들은 일주일 만에 오는 아이들을 따뜻하게 맞아주고 있었다.

북경정음우리말학교 교실 모습. 안성용 기자
 
북경정음우리말학교는 전통 집거지인 동북지역을 떠나 베이징에 정착한 조선족 가정 아이들에게 우리말과 민족문화 등을 가르치기 위해 2013년에 정식으로 개교했다.
 
현재 베이징에는 중국내 대표적인 한인타운이 왕징에 있는 북경정음우리말학교와 인근 순의구의 순의정음우리말학교, 통저우구와 허베이성 연교지역을 아우르는 연통정음우리말학교가 있다.
 
북경정음의 경우 현재 120명의 조선족 아이들이 매주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우리말을 배우고 있다. 한 학기 16주 과정으로 3년이면 졸업을 한다. 이렇게 해서 지난 10년간 거쳐 간 학생이 1천명에 이른다.
 
2020년 인구조사에서 베이징에 호적을 둔 조선족이 3만 3천 명임을 감안하면 매학기 120여명의 학생이 많은 것은 아니지만 이 곳이 아니면 우리말을 배우지 못했을 아이들이 한글을 배우고 익히며 민족정체성을 확립해 가고 있다는 것은 결코 가벼이 볼 문제가 아니다.
 
한국인들의 진출이 빨랐던 산둥성 옌타이시에도 조선족들이 운영하는 옌타이한글학교가 있다. 북경정음우리말학교와 비슷한 시기에 시작돼 역시 700~800여 명의 조선족 아이들이 우리말을 깨우쳤다.

랴오닝성 다롄의 옹달샘배움터에도 45명의 교사들이 200여명의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다롄(대련)에 있는 다롄옹달샘배움터 학생들이 글짓기한 모습 일부. 다롄옹달샘배움터 제공
상하이 등 화동 각 지역에서도 다른 이름의 주말 우리말학교들이 운영되고 있다.

정음학교든 한글학교든 우리말학교를 거쳐간 학생들은 어디를 가든 무슨 일을 하든 조선족으로서의 정체성을 잃지 않고 한국과 한반도라는 모국을 항상 염두에 두며 살아가게 될 것이다.
 
안후이성 성도 허페이에서 일본어 한국어 영어 등을 가르치는 학원을 운영하고 있는 손성학(37세) 원장도 어렸을 때 조선족 학교에 다녀서 우리말과 전통을 배웠지만 요즘에는 조선족 아이들이 한족학교에 다니면서 중국말 밖에 못하는 상황을 안타깝게 여겨 주말을 이용해 허페이아리스토정음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2017년에 학생 4명으로 시작했지만 중간에 어려움을 겪어 올해 3월부터 새 출발한 허페이아리스토정음은 9월 새학기에는 학생이 10명으로 늘었다.
 
손 원장은 "예전에는 동북 3성에 모여 살았던 우리 민족이 뿔뿔이 흩어지면서 미래가 낙관적이지는 않다"면서도 "도시우리말학교 등을 통해서 많은 선생님들이 힘을 모아 우리말 교육을 해 나간다면 그나마 발전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민 3세들이 동북 3성의 고향 마을을 떠나 중국 각지에 정착했지만 이들에게 가장 큰 고민 거리는 자녀들에게 우리말을 가르치는 문제다.
 
양쪽 다 조선족인 경우라고 해도 가정에서 우리말 교육이 가능하지만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아이들이 상당한 시간을 한족 학교에서 보내고 한족 친구들과 어울리는 상황에서 주말을 이용한 우리말 교육은 유일한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칭다오에서 열렸던 도시우리말학교협의회 교사연수회에 참석한 교사들의 모습. 해안선미디어 이계옥 특약기자 제공
칭다오에서 열렸던 도시우리말학교협의회 교사연수회에 참석한 교사들의 모습. 해안선미디어 이계옥 특약기자 제공

지난 7월 29일부터 8월 1일까지 산둥성 칭다오에서는 '열과 성을 다해 우리말을 지키자'는 주제로 중국 전역에 조직된 도시우리말학교협의회의 교사 연수회가 있었다.
 
교사 연수회는 각 지의 주말학교 운영경험과 교육경험을 공유하고 교사들 사이의 친목을 다지기 위해 지난 2015년부터 개최 도시를 바꿔가면서 꾸준히 개최되고 있다.
 
올해 연수회에는 베이징, 다롄, 상하이, 둥관, 포산, 톈진, 옌타이, 허페이 등 13개 지역의 주말학교 책임자 및 교원 60여명이 참여했고 칭다오지역 조선족 기업가 협의회, 북경정음우리말학교 후원이사회가 든든한 후원자가 됐다.
 
각 지역의 도시우리말학교는 학생을 둔 조선족들을 모이고 교류하게 하는 장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북경정음우리말학교 교장이자 도시우리말학교협의회 정신철 회장은 조선족기업가 협회 등 많은 모임이 있지만 아이들을 중심으로 각 부류의 학부모들이 모이면 민족문화의 중심이 될 수 있다면 주말학교 확산 필요성을 제기했다.
 
어려움이 없는 것은 아니다. 옌타이한글학교의 경우 성공한 지역 조선족 기업가 등을 중심으로 후원이사회가 안정적으로 결성돼 있고 이 중 한 사람이 공간을 저렴하게 제공해 선생님들이 우리말 교육에 전념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교가 재정부족 등으로 아이들을 가르칠 안정적인 공간 확보에 애를 먹고 있다.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광고 수수료를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