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별부터 누리호·다누리…다음은 "민간 주도 도전"

9월 항우연 기술 넘겨받을 체계종합기업 선정
한국항공우주·한화에어로스페이스 경합

1992년 8월 11일 우리별 1호 발사 현장. KAIST 제공

1992년 8월 11일 우리나라 첫 인공위성인 '우리별 1호'가 발사된 지 꼭 30년을 맞았다.
   
그간 한국은 우리별위성 시리즈 3회, 과학기술위성 시리즈 5회, 차세대 소형위성 1호 등 소형위소 10기를 개발해 발사했다. 올해엔 우리 기술로 제작돼 국내에서 발사된 발사체 누리호가 성공적으로 궤도에 안착했고, 최근 한국 최초의 달 탐사궤도선 다누리가 발사돼 달을 향해 가고 있다.

KAIST인공위성연구소 주요 성과. KAIST 제공

현재 우리나라가 독자 개발한 위성 중 총 9기가 우주에서 운영 중이다. △정밀감시 용도의 다목적실용위성 3기와 △다양한 공공광역 관측과 지도제작에 쓰이는 차세대 중형위성 1기 △기상예보와 해양·환경감시를 하는 천리안 위성 3기 △과학임무를 수행하는 차세대 소형위성 1기 △최근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에 실려 우주로 간 성능검증위성 1기 등이다.

1992년 우리별 1호 진동 시험 중인 연구진. KAIST 제공

앞으로 우주개발의 큰 방향은 현재까지 정부 주도로 진행돼 왔던 인공위성 또는 발사체 개발을 민간이 할 수 있도록 기술을 이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자금과 우수인력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는 게 목표다.
   
특히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내년 누리호 3차 발사를 앞두고 조립을 진행하면서 누리호 기술을 이어받을 체계종합업체를 선정하고 있다. 한국형발사체고도화사업을 수행할 체계종합업체는 지금까지 항우연의 기술을 넘겨받아 발사체를 직접 제작하고 납품하는 전 과정을 책임지고 수행하게 된다.
   
KAIST인공위성연구소 주요 성과. KAIST 제공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이 '한국판 스페이스X'로 성장할 후보군으로 꼽힌다. 예정대로 개발이 진행될 경우, 이번에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쏘아올린 달탐사선을 근시일 내엔 국내에서 발사할 수 있을 전망이다.
   
장영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부장은 "차세대 발사체는 누리호와 비교해 규모가 커진다는 측면 외에도 엔진의 추격조절이나 여러 번의 점화, 발사체 재활용 등에서 (변화를) 설계에 반영하기 위해 계획을 세워놓았다"며 "잘 된다면 달 탐사도 차세대 발사체로 수행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