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계대출을 받은 대출자 10명 가운데 4명 가까이는 4% 이상 금리로 은행과 대출 약정을 맺은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은행의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예금은행에서 지난 3월 이뤄진 신규 가계대출 중 36.1%의 금리는 4% 이상으로 집계됐다.
5% 이상 금리로 약정된 가계대출도 9.4%였다. 3~4% 사이의 대출금리는 48.2%, 3% 미만 금리는 15.7%에 그쳤다. 2% 미만 금리는 1.6%에 불과했다.
작년 12월 말과 비교하면, 4% 이상 금리 비중이 18.3%에서 불과 3개월 사이 거의 두 배인 36.1%로 뛰었다. 5% 이상 금리의 가계대출 비율도 6.7%에서 9.4%로 높아졌다. 반대로 3% 미만 금리 비중은 25.0%에서 15.7%까지 급감했다.
코로나19 발생으로 저금리 기조가 절정이었던 2020년 8월 당시에는 가계대출 89.0%의 금리가 3% 미만이었고, 2%에 미치지 못하는 금리도 13.1%나 차지했다.
기준금리 인상과 물가상승·긴축 전망을 반영한 시장금리 상승 등과 함께 올해 하반기에는 '4~5%대'가 일반적 대출금리 수준으로 굳어질 것으로 보인다.
금리 상승기에 대출자들은 고정금리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한 측면이 있지만 변동금리를 택하는 대출자가 더 늘고 있다.
3월 예금은행 신규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 대출은 19.5%에 불과했다. 2월(22.1%)과 비교해, 한 달 사이 2.6%포인트나 더 떨어졌다. 새 가계대출의 80.5%는 변동금리다.
변동금리 비중은 2019년에 연평균 53.0%, 2020년에 63.8% 수준이었다. 불과 2~3년 사이 변동금리 비중이 20~30%포인트나 뛰었다.
특히 기존 가계대출을 포함한 잔액 기준 고정금리 대출 비중은 3월 현재 23.0%로, 2014년 3월(21.4%) 이후 8년 만에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금리 상승기에 변동금리를 선택하는 대출자가 더 늘어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현재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더 높기 때문이다.
금융 전문가들은 향후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1년 이상 대출을 받을 경우 지금은 다소 높더라도 고정금리로 대출을 받는 것이 안전하다고 조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