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 17%가 적자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가구는 수입 대부분을 빚을 갚는 데 사용하고 있다.
한국금융연구원 노형식 연구위원은 8일 '가계 재무 상태가 적자인 가구의 특징과 개선 방향' 보고서에서 "지난해 가계금융복지 조사 자료를 이용해 계산한 결과, 전체 2052만 가구의 17.2%인 354만가구가 적자 가구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를 보면 적자 가구의 연평균 경상소득은 4600만원이다. 원리금 상환액은 4500만원, 필수 소비지출은 2400만원, 이자 외 비소비지출은 90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원리금 상환액이 경상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98%다. 소득 대부분을 거의 빚 갚는 데에만 쓰고 있다는 얘기다.
소득대비대출비율(LTI)이 높은 가구는 적자 가구의 61.5%를 차지했다. 이들의 평균 부채는 다른 가구들보다 4배가량 높은 4억원에 달했다.
노 연구위원은 "소득이 지출에 미치지 못해 빚으로 적자를 메우고 있다면 문제"라며 "높은 LTI를 해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적자 가구 중 66만가구(18.6%)는 세입자로부터 받은 전월세 보증금으로 적자를 메우고 있을 가능성이 커 이들이 전세금 하락 등으로 충격을 받을 때를 대비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