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에서 역술인 얘기가 상대적으로 좀 많았다는 점은 인상 깊다. 물론, 내 경험은 짧고 얇아서 극소수 검사의 얘기일 뿐 대다수 검사 일인 것처럼 오해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 이유를 곰곰이 따져보니 아무래도 '신체 형벌권'을 가진 권력기관 이라서 그러지 않았나 싶다.
실제로 권력자 일수록 역술과의 관련성이 높다. 역대 대통령 가운데 역술인 말을 듣고 조상묘를 옮겼다는 스토리는 흔하다. 정치 영역 뿐만 아니라 경제 권력에서도 무속인.역술인 얘기가 낯설지 않다.
70년대 산골벽지에서 자랐지만 고 이병철 삼성회장이 역술인을 끼고 사원면접을 본다는 얘기는 초등시절부터 귀에 못이 박힐 정도로 들었다.
다른 정부 부처보다 검찰에서 유독 역술인 얘기가 더 등장한다는 사실을 놓고 당시 몇몇 동료 기자들과 그 사유를 따져본 적도 있다. 첫 번째는 잦은 인사 이동 설이다. 검찰 조직은 1~2년에 한 번씩 대부분 자리를 옮겨야 한다. 특히 서울.수도권과 지방으로 인사 이동이 많았다. 그 중 유독 지방을 가지 않고 서울에서 오랜 동안 근무하는 검사를 '귀족 검사'로 통칭했다.
특별히 고위직 검찰 관리들은 지역 기관장으로 일할 때 그 고장서 이름난 역술인이나 속칭 '도사'를 만날 기회가 많다는 것도 통설 중 하나였다. 사람은 누구나 불안한 현재나 미래에 대한 걱정을 안고 살기 마련이다. 역술인에게 잠깐이나마 의지해 보고 싶은 경향이 있음을 배제할 수 없다.
명사형 '영적(being spiriual)'의 사전적 정의는 '매우 신령스러움' 또는 '정신이나 영감'을 뜻한다. 또 '영감(inspiration)'은 '1.신령스러운 예감이나 느낌' 또는 '2.창조적인 일의 계기가 되는 기발한 착상이나 자극'을 말한다.
김 씨가 "삶을 도사와 얘기한다"고 첨언한 것을 감안하면 그 언급은 '창조적 기발한 착상 이나 자극' 이라기보다, '예지적 능력이나 미래를 점치는 일에 관한 능력'과 연관성이 더 높다고 해석된다.
김 씨가 특정의 도인들과 '양식의 대화(?)'를 나누건 말건 그건 사생활이다. 타인이 관여할 바 아니다. 문제는 그의 위치다. 그는 전직 검찰총장 부인이었다. 지금은 야당 대통령 후보의 부인이다. 윤 후보가 손바닥에 '王'자를 그리고 나왔을 때만 해도 '해프닝'으로 치부할 수 있었을지 모른다.
그 언급은 국민들에게 최순실 사태의 뇌관을 터치시킬 수 있는 폭발성을 안고 있다. 유승민 전 의원은 '왕'자를 놓고 "오방색 타령 하던 최순실 같은 사람과 윤 후보는 뭐가 다른가"라고 토론에서 한탄한 적이 있다.
그럼에도 대통령제 권력 속성 상, 그 지위에 도전하는 후보 가족은 늘 비선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막후에서 공식화 되지 않은 것이 오고 가면 그 문제는 분명히 노출될 수 밖에 없다. CCtv 없는, 녹음기 없는 조선 시대에도 비선에 대한 소문은 수면 위로 떠오르지 않은 적이 없다.
힘이 작용하면 그 힘을 쫓아가는 사람들은 굉장한 촉각을 갖고 있다. 그러면 어느 순간에 힘이 작용하는 쪽에 레이더를 빠르게 돌리기 마련이다. 그것은 동물적이어서 통제할 방파제가 없다.
'권력'과 '영적인 것'은 공존할 세계가 아니다.
정보란 것은 권력자에게 쏠리는데, 그 권력자는 자기가 '촉이 좋다', '영이 있다'고 우쭐하고 착각한다. 그걸 갖고 본인 능력이라 과시하면, '길흉화복' 역술에 민주주의는 또 좌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