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초과학연구원 정슬기 박사 연구팀과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카틱 찬드란(Kartik Chandran)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연구해 12일 밝힌 내용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하·폐수 중 질소성분은 다양한 수질오염을 일으키는데 미생물을 이용해 하·폐수 중 질소를 제거하는 생물학적 고도처리 방법이 질산화공정이다. 이 공정에 사용되는 미생물이 암모니아 산화세균 또는 암모니아 산화 고세균이다.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이 질산화공정에 사용되는 이 미생물의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각각 50나노미터(nm 1/10억미터)와 500나노미터 크기의 폴리스티렌을 미생물에 노출시킨 뒤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실험 결과 500나노미터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미생물의 기능에는 별 영향이 없었다. 반면 50나노미터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미생물은 500나노미터 노출군과 비교해 기능이 30% 가량 떨어지는 것으로 관찰됐다.
정슬기 박사는 "이번 실험이 일반적인 경우라고 가정하면 공정의 측면에서 볼 때 하·폐수 처리 공정이 시작되기 전에 미세플라스틱을 미리 걸러내는 장치가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미세 플라스틱은 크기와 재질, 모양 등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이번 실험이 모든 위해성을 대표한다고 볼 수는 없지만 하·폐수 처리 공정에서 미세플라스틱 입자의 크기에 따른 생물학적 위험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하수처리시설의 미세플라스틱 제거와 효율적인 관리 방안 연구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