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 싣는 순서 |
①방역 성과 무너뜨린 대구시 백신 독자 도입 논란 ②해결 물꼬 튼 대구 취수원 이전…구미 반대 여론 과제로 (계속) |
올해 6월 대구의 낙동강 취수원을 구미 해평으로 옮기는 취수원 다변화 방안이 의결됐다.
2028년까지 현재 대구의 낙동강 취수원을 구미 해평취수장으로 옮기는 것이 골자다.
정부는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를 열고 이러한 취수원 다변화 방안이 담긴 낙동강 통합 물 관리 방안을 심의 의결했다.
이 방안에 따르면 앞으로 구미 해평취수장에서 30만t, 문산과 매곡정수장에 초고도정수시설을 도입해 28만 8천t을 취수한다.
이를 통해 대구에 57만t, 경북에 1.8만t의 물을 배분하게 된다.
대구 취수원 이전 필요성은 그간 꾸준히 제기됐다.
지역 식수는 현재 구미산업단지 하류 31km 지점에서 취수돼 수질 안전에 대한 우려가 크다.
실제 수질 오염 사고도 수차례 발생해 먹는 물에 대한 불안감을 떨칠 수 없는 실정이다.
지난 1991년 페놀 사태를 시작으로 2006년 퍼클로레이트, 2004년과 2009년 1·4 다이옥산, 2008년 페놀, 2012년과 2013년 불산, 2018년 과불화합물 등의 수질 오염 사고가 있었다.
그동안 취수원 이전 등 방안이 논의되고 관련 정부 용역도 추진됐지만 구미시와의 갈등으로 먹는 물 문제는 10년 넘게 답보 상태를 거듭했다.
그러던 중 지난해 9월 대구와 경북, 구미 등 낙동강 상류 자치단체장과 환경부장관이 4자 회동을 하면서 취수원 문제가 급물살을 타게 됐다.
구미 해평취수장을 공동 활용하는 방안을 담은 '낙동강 유역 통합 물 관리 방안'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뤄진 것이다.
이후 지난 6월 취수원 다변화 방안이 의결되면서 문제 해결의 물꼬는 텄지만 갈 길은 멀다.
취수원 다변화 성패는 취수원 이전 영향 지역인 구미 지역의 결단에 달려있다.
과거에도 대구 취수원을 구미 해평취수장으로 이전하자는 방안이 제기됐지만 구미 지역민의 반대 여론에 번번이 부딪혔다.
지난 8월 환경부의 낙동강 통합 물 관리 방안을 구미시가 조건부로 받아들였으나 반대 목소리도 적지 않다.
상수원보호구역 확장과 물 부족 등의 이유에서다.
구미 지역 국회의원과 의회, 시민단체는 주민 의견을 배제한 일방적 결정과 낙동강 수질 개선 근본 해결책 결여 등을 문제로 꼬집고 있다.
두 도시의 상생을 위한 방안 마련이 요구되는 가운데 우선 대구시는 100억 원 지원을 약속했다.
대구시는 해평취수장을 공동 이용을 할 경우 유역위 의결에 따라 구미에 상생발전자금으로 100억 원을 지원한다.
아울러 △KTX 구미역사 신설 건의 △구미5산단 규제 완화 △농축산물 직거래 장터 운영 등 다각도의 지원 방안을 마련 중이다.
정부도 낙동강수계기금을 통해 공사 착공 이후부터 매년 100억 원을 구미시에 지원할 계획이다.
신속한 물 문제 해결을 위해 지역 시민단체도 두 도시간 공감대 형성에 나서고 있다.
대구취수원다변화범시민추진위원회는 21일 성명서를 내고 "지역 경제 여건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지금 두 도시의 오랜 갈등을 종식하고 상생 협력을 통해 새로운 미래를 그려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최근 여론 조사 결과 구미 시민 70% 이상이 취수원 공동 이용에 찬성해 물 문제가 이번엔 해결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며 "구미 시민의 상생 의지에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고 말했다.
지역 숙원인 먹는 물 문제 해결을 위해선 두 도시가 슬기롭게 갈등을 풀고 상생 협력 방안을 찾는 것이 관건으로 꼽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