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16일 '2021 울산광역시 청년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시는 청년인구 감소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지난 2017년부터 2년 마다 이같은 통계를 작성해 오고 있다.
해당 통계는 통계청 등 최근 5년의 공공기관 행정자료와 울산시 사회조사 자료를 취합해 작성됐다.
울산에 거주하는 만 15세에서 34세를 대상으로 인구와 가구, 주거, 일자리·창업, 복지, 건강, 교육, 참여 총 8개 부문 117개 항목을 분석했다.
4년간 청년 5만여 명 감소…결혼·출산율 높아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울산 청년인구는 26만 8410명이었다. 2016년 31만 7750명과 비교하면 4년새 4만 9340명이 감소했다.
울산의 전체 인구 대비 청년인구 비율도 2016년 27.1%에서 2020년 23.6%로 낮아졌다.
이는 전국 평균인 23.9%보다 낮은 수치다.
지난해 울산의 청년인구 순이동률은 -2.7%로 전국 7대 특·광역시 중 울산의 청년인구 유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전출 사유는 직업 48.9%, 가족 17.5%, 교육 17.2% 순이었다.
청년인구 감소세 속에서도 결혼과 출산은 활발했다. 2020년 울산 청년의 혼인율은 천 명당 남성 20.3건, 여성 26.6건으로, 7대 특·광역시 가운데 여성은 첫 번째, 남성은 두 번째로 높았다.
청년의 연령별 출산율은 여성인구 천 명당 38.2명으로, 2016년 56.9명 보다는 18.7명 감소했지만 7대 특·광역시 중에서는 가장 높았다.
구·군별로는 신혼부부가 많은 북구의 출산율이 54.4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중구가 28.6명으로 가장 낮았다.
울산 신혼부부 2쌍 중 1쌍, 주택 소유
청년 1인 가구 비율은 지난 2016년 46.5%에서 2020년 55.1%로 증가했지만 7대 특·광역시 중에서는 인천 다음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울산의 신혼부부는 지난 2019년 기준 3만 431쌍이었는데 54.2%가 주택을 소유하고 있었다. 이는 7대 특·광역시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치다.
구·군별 신혼부부 주택소유 비율은 북구가 57.6%로 가장 높았고 중구가 45.5%로 가장 낮아, 출산율과 동일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2019년 울산의 신혼부부 3만 431쌍 중 맞벌이는 1만 2078쌍으로 39.7%, 외벌이가 1만 6406쌍으로 53.9%였다.
7대 특·광역시 중에서는 울산의 맞벌이 신혼부부 비율이 가장 낮았다. 하지만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맞벌이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2019년 신혼부부의 자녀 출산 여부를 보면 맞벌이 신혼부부의 59.2%, 외벌이 신혼부부의 70.3%가 자녀가 있었다.
울산 청년 주택 소유율, 7대 특·광역시 중 1위
구·군별 청년 주택소유자 비율은 북구가 10.4%로 가장 높았으며 중구가 5.8%로 가장 낮았다.
청년이 소유한 주택의 85.5%가 아파트였고 84.6%가 시내에 소재하고 있었다.
청년 소유 주택의 가격은 '0.6억 초과~1.5억 이하'가 43.9%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1.5억 초과~3억 이하' 36.7% 순이었다.
청년 고용·경제활동 참가율 모두 감소
울산 청년 일자리 시장은 코로나19 이후 고용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하반기 기준 울산 청년인구의 고용률은 47.6%(전국평균 51.3%), 경제활동 참가율은 51.6%(전국평균 55.0%), 실업률은 7.8%(전국평균 6.8%)였다.
그나마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하면 하반기 고용률과 경제활동 참가율은 모두 상승했다.
지난해 울산 청년의 구직 신청 건 수도 4만 5412건으로 인구대비 신청률이 10.6%였다. 이는 7대 특·광역시 중 가장 높았으며 부산과 동일한 수치이다.
청년 구직자의 희망직종은 남성은 건설·기계·재료·화학·섬유(37.0%)를, 여성은 관리·경영·금융·보험(49.1%)을 가장 선호했다.
고용보험 가입여부로 지난해 울산 청년들이 종사하고 있는 산업을 보면 서비스업이 53.1%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광업·제조업 42.2%였다.
지난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추이를 보면 서비스업 비율은 높아지고 광업·제조업 비율은 낮아지고 있다.
지난 2019년 울산의 청년 사업체는 1만 5425개였는데 이 가운데 90.7%가 서비스업 사업체였다.
서비스업 중에서는 도·소매업 34.4%, 숙박·음식점업 21.2%, 그 외 서비스업 19.3%, 부동산업 6.7% 순이었다.
지난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청년 사업체는 증가추세이고 매년 약 20%의 사업체는 폐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창업 의사가 있는 울산 청년들이 희망하는 관련 정책은 창업비용 지원 69.1%, 정보 지원 14.4%, 창업 지원기관 설립이 9.6% 순으로 조사됐다.
복지부문에서는 지난해 울산 청년의 공적연금 가입 인구는 12만 5235명으로 전체의 47.6%를 차지했다.
국민연금이 94.0%, 공무원연금 4.4%, 사학연금 1.6% 순이었으며 국민연금 가입 비율은 서울(95.7%)에 이어 울산이 7대 특·광역시 중 두 번째로 높았다.
교육 부문에서는 지난해 울산 관내 고등학교 졸업자의 대학 진학률이 80.4%로 전국 17개 시도 중 경남(81.9%), 세종시(81.1%) 다음으로 높았다.
2019년 울산 관내 대학 졸업자의 취업률은 69.4%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인천광역시 70.1%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2021 울산광역시 청년통계는 울산시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