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 여전하지만 폭은 작아진 전셋값…"완화 확신 안 된다"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동향에 따르면, 이번 달 첫째 주 전셋값 상승률은 수도권과 전국이 0.11%, 서울이 0.10%를 기록했다.
가격 상승 자체는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상승폭이 직전 주와 같은 수준이거나 작아진 점은 수도권과 전국 기준 9주 연속, 서울에서 15주 연속 나타나고 있다.
부동산원에 따르면,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동향은 보증금 증액 상한(5%)이 적용되는 갱신계약이 아닌 신규계약이 중심이다. 전국 3만 2천 가구에 달하는 표본의 실거래를 반영하되, 관련 거래가 없다면 해당 단지 또는 인근의 유사 평형의 거래를 참고한다.
즉 '신규' 계약 중심으로도 상승폭이 이전보다 작아진 상태인 것이다.
정부도 이와 관련한 자신감을 내보이고 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최근 "주택시장의 안정화 흐름이 보다 확고해지는 양상"이라며 특히 전세시장에 대해 "입주 물량 증가, 대규모 정비사업 이주 종료 등으로 지난해 8월 임대차법 시행 이후 최다 매물이 출회되고, 가격 상승세도 지속해서 둔화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를 완연한 안정세로 진단하는 것을 경계한다.
동국대 법무대학원 고준석 겸임교수는 "가을 성수기와 겨울 이사철 사이에서 안정세를 논하기엔 주간은 물론 월 단위 통계로도 아직 섣부른 감이 있다"며 "가격 상승폭이 줄었지만 여전히 우상향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계약갱신 종료 물량, 대선…내년 전세시장 변수 많아 매매도 촉각
이러한 전세시장 '불안정' 요소가 매매시장에마저 연쇄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따라온다.
고 교수는 "현재로서는 유력 후보들이 '주택 공급 확충'과 '세 부담 완화'를 말하고 있지만, 세부적인 방향에서는 다른 효과가 나올 것"이라며 "현재 주택 관련 수요는 꺾인 것이 아니라 대출 등 영향으로 잠시 '소강' 상태란 점을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장 수요자들이 내년 선거 이후 정권의 부동산정책 향방에 따라 전세 수요(대기)든 즉시 매매 수요든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것이다.
부동산인포 권일 리서치팀장 역시 "내년 입주물량이 올해보다 줄고, 전반적인 대출 규제 역시 강화돼 전세 공급 대비 수요가 커질 가능성이 높은데 심지어 7월 이후 하반기에는 신규 전세 계약 건으로 상승세가 튀어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출규제가 확대되고 있고, 공공이든 민간이든 두 후보가 공약한 주택 공급 확충은 또 다른 전세 수요로도 이어진다"며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의 선행지수 성격을 지닌 한, 이러한 변수는 내년에도 두 시장 모두에 부담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