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관이 취급했을 때 특혜 시비 휘말릴 게 리스크"
3일 CBS노컷뉴스의 취재를 종합하면 대장동 개발 관련 대출 업무를 했던 한 금융회사가 대출 리스크를 평가할 당시 리스크는 단 하나 였던 것으로 파악됐다. 이 리스크는 화천대유 측에 배당금을 몰아주는 독특한 지분 구조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특혜 시비였다. 이 금융사 관계자는 "사업 구조가 워낙 독특하다보니까 나중에 이 대출 건을 금융기관이 취급했을 때 특혜 시비에 휘말려 정치적 이슈에 시달릴 여지가 있지 않느냐는 우려가 나왔다"고 말했다.
대장동 사업은 민관(民官) 합동으로 '성남의 뜰'이라는 프로젝트금융회사(PFV)를 만들어 도시개발을 하는 형식으로 진행이 됐다. 이때 지분 구조를 보면 성남도시개발공사는 성남의 뜰 지분의 50%+1주를 갖고 나머지는 하나은행이 이끄는 컨소시엄이 지분(하나은행 지분율 14%, KB국민은행 8%, IBK기업은행과 동양생명이 각각 8%, 하나자산신탁 5%, 화천대유 1%-1주, SK증권 6%)을 갖기로 했다.
그런데 수익 구조는 지분과 비례하게 설계되지 않았다. 성남의뜰에선 우선주의 비율이 높고 보통주는 소수였다. 성남시(성남도시개발공사)와 금융권이 갖는 우선주가 93%, 화천대유와 SK증권이 갖는 보통주가 7%다. 이때 성남도시개발공사가 가지고 있는 일종 우선주는 1822억원을 가장 우선적으로 받고 소수의 보통주가 제한 없이 남은 이익금을 갖는 구조로 짜여졌다. 이로 인해 성남시는 배당금(일종 우선주)으로 1830억원을 가져갔고 은행들(이종 우선주)은 출자금의 연25%인 32억원 가량을 받았다. 반면 1%와 6% 지분을 가진 화천대유와 SK증권은 4040억원이 넘는 배당금을 받았다. SK증권은 알고보니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와 그의 측근들로 구성된 특정금전신탁으로 확인됐다. 6% 지분으로 3463억원의 배당을 받은 실제 소유주는 SK증권이 아니라 SK증권에 '성남의뜰에 투자해달라'고 돈을 맡긴 김씨와 그와 관계된 사람 7명인 것이다.
성남시의 PFV 구조로 사업을 하게 되면 좋은 위치의 땅을 싸게 살 수 있어 도시개발사업 수준에서 엄청난 수익이 발생하는데 발생한 수익 가운데 성남시가 가져간 현금은 1800억 정도로 제한적으로 설계를 한 게 금융권에서 봤을 때 이상했다는 지적이다. 이 때문에 이 금융사의 리스크 평가 때는 "이렇게 사업자에게 수용권이라는 어마무시한 권한을 주고 이것만 가져가는 구조가 말이 되느냐"라거나, "이 구조는 누가 봐도 화천대유에 특혜를 주려고 하는 의도로 보이지 않느냐"는 얘기가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①공모지침서 13조 ②건설사 배제…"이례적인 설계, 특혜 의심"
실제로 대장동 개발에서는 다른 민관합동개발에선 볼 수 없는 이례적인 부분이 두 가지 보인다는게 업계의 공통된 시각이다. 첫 번째 이례적인 부분은 민간사업자 가운데 1개사가 자산관리회사(AMC)를 만들어야 한다는 공모지침서 조항이다. <성남 대장동·제1공단 결합 도시개발사업 민간사업자 공모지침서> 13조 (사업주체의 역할 및 책임)을 보면 PFV는 자산관리·운용 및 처분에 관한 업무를 사업신청자 구성원 가운데 1인을 AMC로 선정해 위탁해야 한다고 돼 있다.
도시개발사업을 위해 만든 일종의 페이퍼컴퍼니인 PFV는 상근 임직원을 두지 못하게 돼 있어 손발 역할을 할 AMC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보통은 민관합작사업 공모에 응모해 PFV가 만들어지면 그 이후 AMC가 만들어지는데 관(官)인 도시개발공사에서 몇 명, 민(民)인 시행사에서 몇명 등을 합의해 구성된다. AMC를 이렇게 따로 두는 이유는 주주들 요구 사항이나 이익에 휘둘리지 말고 신탁사나 대출금융 약정, 시공 계약 등 민관 합작 계약 취지를 받아들여 거기에 따라 실무적인 일만 하라는 취지다.
그런데 대장동 개발사업에서는 몸통인 PFV보다 손발인 AMC를 먼저 구성하라는 특이한 주문을 한 셈이다. 과거 공사가 진행한 위례·백운사업의 공모지침과도 다르며 대형개발사업 현장에선 더 전례를 찾아보기 힘든 조건이다. 이에 따라 대장동 개발 공모에 참여한 컨소시엄 중 성남의뜰은 급조된 AMC인 화천대유를 구성원으로 참여시켜 상대평가 점수 20점을 단독으로 받았다. 화천대유는 대장동 사업의 민간사업자 공모가 공고되는 2015년 2월 13일보다 불과 일주일 앞서 설립됐다.
PF 사업에 정통한 한 법조인은 "지분의 6%가 민간 수익 90% 가져가는 사태는 설계 단계부터 당연해보이기 때문에 주택 가격 폭등이라는 변명은 말이 안된다"면서 "컨소시엄에 건설사를 빼고 금융기관이 주로 들어오게 해 이익을 조금만 줘도 되도록 하고 AMC부터 먼저 만들어 이들이 대부분의 수익을 가져가도록 설계한 순간부터 과다수익이 확정되는 것으로 보인다. 쟁점은 설계를 누가 했느냐"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