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희숙 '사퇴시켜달라'지만, 여야 모두 '나름의 이유'로 주저주저

의원직, 대선 예비후보 사퇴를 선언한 윤희숙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27일 국회 소통관에서 최근 윤 의원에 대한 발언들에 대한 의견을 밝히는 기자회견을 마친 뒤 나서고 있다. 윤창원 기자

국민의힘 윤희숙 의원의 '의원직 사퇴안' 처리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지만, 사퇴안의 본회의 상정 자체가 이뤄지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본회의 표결로 간다고 해도, 다수당인 여당은 "정치쇼에 동원되지 않겠다"며 사퇴안 처리에 부정적이다.

앞서 윤 의원은 지난 25일 권익위로부터 부친의 부동산 위법 의혹이 제기되자 의원직 사퇴를 선언한 바 있다. 자신의 책임이 아닐지라도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앞장서 비판해 온 자신과 관련된 의혹이 제기된 이상 정치 일선에서 물러나는 것이 도리라는 취지다.

다만, 이후 언론보도를 통해 부친의 땅 투기 의혹이 짙어지고 한국개발연구원(KDI) 근무 시절 내부 정보 활용 의혹까지 제기되며 윤 의원의 사퇴 선언을 바라보는 여론은 갈린 상황이다.

일단 윤 의원 스스로는 의원직을 버리겠다는 의지가 확고하다. 지난 25일 첫 기자회견에서도 "(사퇴안을) 민주당이 즐겁게 통과시켜줄 것"이라고 말했고, 27일 회견에서도 "저 자신을 벌거벗겨 조사를 받겠다"며 스스로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와 합동특별수사본부에 수사 의뢰한 상태다.
윤희숙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27일 국회 소통관에서 부친의 세종시 논 구입 과정을 둘러싼 의혹에 대해 해명 기자회견을 진행하는 모습. 윤창원 기자

사퇴안 의결은 재적 의원 과반 출석, 출석 인원의 과반 찬성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171석을 가지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이 자체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구조다.

하지만 민주당은 윤 의원의 '사퇴 쇼'라거나 '셀프 피해자 코스프레'로 규정하며 표결보다 사과와 수사 협조가 먼저라는 입장이다.

'사퇴 쇼에 동참하지 않겠다'며 의원직 사퇴 표결에 동참할 수 없다는 입장이라 표결이 실제 이뤄진다고 해도 사퇴에 찬성표를 던지지 않겠다는 목소리가 높다.

게다가 똑같은 권익위 조사 이후 민주당 의원 12명은 모두 의원직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도 정치적 부담이다. 윤 의원은 의혹만으로 사퇴시킬 경우 '내로남불'이라는 비난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국민의힘의 한 의원은 "빠른 시일 내에 상정될 것이라 보지 않는다"며 "만약 통과가 되버리면 농지법 의혹만으로 옷을 벗은 윤 의원과 아무 조치 없이 뭉갠 민주당이 비교될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대신 민주당은 윤 의원의 탈당을 요구하고 있다. 이용빈 민주당 대변인은 29일 논평에서 "논란의 핵심은 '사퇴 여부'가 아니라 '부동산 불법 투기 의혹'"이라면서 "윤 의원은 자신의 의원직 사퇴 발표가 희화화되는 것이 싫다면, 탈당을 먼저 하고 이후 조사 결과에 따라 정치 행보를 결정하라"고 밝혔다. 점점 의원직 사퇴 여부로 논점이 옮겨가는 데 부담을 느끼며, 본질을 밝히는 데 주력하라는 요구다.
더불어민주당은 윤희숙 의원의 탈당을 요구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26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 윤창원 기자

국민의힘 내부 기류도 복잡해지고 있다. 의원직 사퇴 선언 당일만 하더라도 지도부와 대권주자, 초선의원들은 앞다투어 '윤희숙은 죄가 없다'며 옹호에 나섰지만, 지금은 지나친 정치쟁점화가 가져올 역풍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당내 한 중진은 "부친의 투기 의혹에는 '죄송하다' 하고, 농지법 위반 여부는 법적 판단을 받으면 되는데, 의원직 사퇴는 상식 밖의 행동이며, 이를 옹호한 당내 성명들도 과도했다"고 우려했고, 또다른 의원은 "이제 사실관계는 수사를 통해 명확히 해야하는 단계에 온 것 같다"며 자중을 촉구했다.

여기에 국민의힘 내에서 윤 의원을 제외하고 부동산 관련 의혹을 받고 있는 11명의 의원에 대한 후속조치가 확정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국민의힘이 주도적으로 윤 의원에 대한 본회의 상정을 요구하고, 찬성표를 던지기도 애매한 상태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명단에 오른 의원들에 대해 조치가 덜했느냐 여부를 가지고 논란이 되지 않으면서, 당으로서는 원칙 대로 가는 방식으로 소동이 잦아들길 바랐는데 현재 상황은 통제하기 어려운 쪽, 향후 수사결과에 따라 리스크가 커지는 쪽으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