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필두로 G7 지도자들이 중국이 핵심이익이라고 표현하는 홍콩·신장·대만 문제 등을 모두 꺼냈음에도 침묵하는 것은 공동성명이 담고 있는 내용들을 충분히 숙지해 대응책을 마련하고 공격의 지점을 찾기 위한 전술적 행동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의 침묵이 오래 가지는 않을 전망이다. 단우지에(단오절) 휴일 이튿날인 15일 외교부 정례브리핑에서 핵심 이익을 건드린데 대한 강한 반발이 예상된다.
중국 정부에 앞서 영국 주재 중국 대사관이 비판의 포문을 열었다. 주영 중국대사관은 G7 정상회의 공동성명이 나오기 하루 전에 "작은 그룹의 국가들이 글로벌 결정을 지시하는 시기는 오래전에 지났다"고 견제구를 날렸던 곳이다.
주영 중국대사관은 14일 웹사이트에 올린 대변인 명의의 일문일답을 통해 G7 정상 회담은 신장, 홍콩, 대만 및 기타 문제에 대한 왜곡 된 발언을 게시하고 고의적으로 중국을 비방하며 중국 내정에 자의적으로 간섭했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이는 국제 관계의 기본 규범을 심각하게 위반하는 것으로 국가의 주권, 안보 및 개발 이익을 단호하게 수호하고 중국에 부과 된 모든 종류의 불의와 침해에 단호하게 반격할 것이라고 말했다.
환구시보는 G7 공동성명에서 중국을 거론하고 신장·홍콩·대만 문제를 언급하고 동중국해와 남중국에서 일방적인 현상변화 시도와 강제 노동에 반대입장을 드러냈다고 보도했다.
이어 공동성명에서 일부 사안은 중국을 직접 표적으로 삼았고 일부는 중국을 직접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목표는 매우 명확했다며 중국에 대한 체계적인 비난임과 동시에 서방 열강의 중국에 대한 간섭이라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세계보건기구의 코로나19 기원 2차 조사를 중국에서 시작해야 한다고 요구한 것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중국 공격의 거의 모든 의제들을 미국이 주도한 것이 분명히 보인다고 분석했다.
환구시보는 그러나 공동성명에 담긴 표현들이 (트럼프 행정부 시절) 미국 단독으로 중국을 공격했을 때보다 다소 완화됐다며 '인종멸절' 등의 단어가 빠진데 주목했다.
이는 미국이 서방 주요 국가들을 중국에 맞서게 할 능력이 있음에도 극단적으로 주장하지는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번 공동성명은 미국이 주도했지만 타협의 산물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미국과 동맹국 간에는 중국에 대한 이익의 차기가 크다며 이념적으로는 차이가 있지만 경제적으로는 경쟁관계이면서 협력해야 하는 처지인 독일 이탈리아 등 유럽국가와 미국을 차별화 할 것을 주문했다.
이 신문은 미국 주도로 G7이 중국의 일대일로에 맞설 인프라구축 계획을 제안했지만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