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태 해결의 열쇠를 쥔 경주시는 수년째 미온적 입장을 보이는 가운데 경주시의회가 문제 해결을 강력히 요구하고 나서 결과가 주목된다.
경주시는 지난 2010년 시민들의 여가 공간 확충과 지역 예술발전을 위해 민간투자방식으로 '경주예술의 전당'을 건설했다.
건설사인 삼성중공업과 화성산업, 투자자인 농협과 대구은행 등 7개 회사가 '특수목적회사(SPC)'를 설립해 723억 5천만 원을 투자해 조성한 것이다.
SPC는 경주예술의 전당 소유권을 경주시에 넘겼고, 대신 2010년부터 20년 간 이곳 운영권을 가졌다.
이후 경주시는 예술의 전당 활성화를 위해 '경주문화재단'을 설립해 수준 높은 공연과 예술행사를 시민들에게 선보이고 시민들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늘리도록 했다.
하지만 시민들은 예술의 전당에 있는 작은 회의실조차 빌리기 쉽지 않다.
특수목적법인이 운영권을 빌미로 모든 시설 대여는 공문을 통해 자신들의 허락을 받으라고 요구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시민들이 예술의 전당 시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경주문화재단이 SPC에 대관을 요청하는 서류를 보내 몇일 뒤 승인을 얻고, 이를 다시 신청자에게 통보하는 불편함이 수년째 이어졌다.
특수목적법인에 대한 비판은 확산됐다. 시설 임대료 65억 원과 시설 운영비 23억 원 등 매년 89억 원씩 20년 간 1848억원 가량을 경주시와 경북도 등으로부터 받음에도 회의실 대관조차 제한하는 것은 도를 넘는 권리행사라는 지적이 나온 것이다.
하지만 소유권을 갖고 있는 경주시는 사태 해결에 미온적으로 대처하면서 갈등과 문제는 이어지고 있다.
김태현 의원은 "경주예술의 전당 운영권을 갖고 있는 특수목적법인이 마치 소유권을 갖고 있는 것처럼 행동하면서 작은 회의실을 빌리는데도 공문을 보내 승인을 얻으라고 하는 것은 매우 큰 문제"라며 "경주시가 SPC의 권한과 책임을 분명히 해 시민 불편을 줄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병길 의원도 "행정사무감사 때마다 경주시가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설 것을 요청했지만 집행부는 아직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번 기회에 경주시는 반드시 한 지붕 세가족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최형대 경주시 문화관광국장과 강인구 문화예술과장은 "지적 사항에 대해 문제점 개선을 위한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