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정상회담을 준비하는 백악관의 분위기를 가장 잘 알고 있는 이수혁 주미대사도 지난 10일 특파원들과 간담회에서 "역대 어느 회담보다도 실질적이고 국익에 도움이 되는, 또 한미 양국이 만족할만한 회담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자신감을 드러냈었다.
정상회담은 보통 정상회담 합의문이나 회담 이후 내놓을 공동성명에 들어갈 문구를 놓고 마지막까지 기싸움을 벌이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번정상회담은 합의문 초안이 나오기도 전에 여기저기서 낙관론이 나온다.
이번 정상회담을 한국과 미국의 국내정치와 맞물려 보면 그 이유가 보인다.
따라서 정상회담 의제도 과거엔 북한문제가 1번이었다면 이번엔 국내문제인 백신확보문제가 1번이 됐다. 문 대통령은 11월까지 집단면역을 형성시키겠다고 공언해왔다.
약속 실천 뿐 아니라 백신 문제를 풀어야 세계적으로 찬사를 받았던 K방역도 문 대통령 업적으로 역사에 남을 수 있다.
문 대통령의 이런 백신 갈증을 풀어줄 수 있는 사람이 바로 조 바이든 대통령이다. 백신공급, 백술 기술지원, 백신 위탁생산 등의 '선물' 이야기가 일찌감치 나온 이유다.
반대로 바이든 대통령에게는 문대통령이 구원자가 될 수 있다.
바이든도 코로나19 사태라는 전례없는 위기를 전임자로부터 물려받았다. 그 역시 이 역사적인 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한 대통령으로 남길 원하고 있다.
그가 국가재건(Build Back Better)을 국가경영의 모토로 삼은 것도 루즈벨트의 뉴딜정책을 연상시킨다.
국가재건의 중심에는 인프라 투자가 자리잡고 있다. 전기차, 사물인터넷 같은 21세기형 인프라의 핵심은 배터리와 반도체다.
삼성, LG, SK의 미국투자, 기술협력은 바이든에게 천군만마 같은 선물이다.
야당인 공화당의 비협조, 그로인한 재정투입의 불확실성을 일정 부분 해소해줄 수 있는 사람이 바로 문 대통령이다.
바이든은 인프라 분야 등에서 가시적 성과를 내야 내년 중간선거 승리가 가능하다. 하원 외에도 상원까지 장악해야 국정 후반기 동력을 이어갈 수 있다.
바이든은 루즈벨트처럼 미국의 전무후무한 4선 대통령으로 남지는 못해도 최고령 '재선' 대통령으로 남게 되는 그림을 머릿속에 그리고 있는지 모를 일이다.
결국 이번 정상회담은 서로 상대에게 긴요한 물건을 서로 주고받으며 모두가 만족하는 '윈윈' 정상회담으로 귀결될 공산이 크다.
우리 국민들의 백신에 대한 목소리 역시 이번 정상회담을 '물물교환' 회담으로 만드는데 일조했음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