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미국이 반도체 수급을 안보문제로 보고 있는 만큼 앞으로 세계 반도체 산업 지형에 큰 파고가 예상된다.
조 바이든 대통령의 올해 눈에 띄는 행보 중 하나는 미국의 반도체 산업 육성이다.
지난달 발표한 우리 돈 2500조 원(2조 2500억 달러)의 인프라 투자 계획에도 반도체산업 지원예산이 포함돼 있다.
또 반도체 공급망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라는 행정명령도 발동했다. 지난주엔 미국 내 반도체 공급망 확중 법안 발의도 예고했다.
한마디로 '실리콘 내셔널리즘' 즉 반도체 자립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이어 이날은 삼성전자 등 반도체 공급사와 포드 같은 반도체 수요사 19개 회사를 화상으로 불렀다.
그는 "여기 제가 들고 있는 칩, 웨이퍼 그리고 배터리와 브로드밴드 모두 인프라다. 우리는 과거의 인프라를 고칠게 아니라 현재의 인프라를 건설해야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반도체와 배터리와 같은 분야에서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다른 나라도 그렇게 하고 있다. 우리도 그렇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우리는 20세기 중반 세계를 주도했고 20세기 말에도 세계를 주도했다. 우리는 다시 세계를 주도할 것이다"고 다짐해 보였다.
이날 회의는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주재했다.
지금의 반도체 수급문제를 국가안보 관점에서 보고 있는 것이다.
반도체는 사물인터넷과 전기자동차 시대 도래로 21세기 석유로 불리고 있다.
반면 공급은 우리나라와 대만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코로나19와 이상기후로 반도체 공급에 차질이 생기면서 산업활동에도 마비를 겪고 있다.
더욱이 중국도 반도체에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이라 미국으로선 더 위기인 셈이다.
문제는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이다.
중국과 미국이 서로 반도체 협력을 요구하고 있어서, 미중간 무역·군사 갈등 속에 또 하나의 균형 외교 전략이 필요해진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