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12일(현지시각) 미국 백악관이 주최하는 글로벌 반도체 공급 부족 대책 회의에 참석한다. 한국시각으로 12일 밤이나 13일 새벽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 화상으로 진행되는 이번 회의에는 삼성전자를 포함해 대만의 TSMC, 미국의 인텔, AT&T, GM 등 19개의 글로벌 기업이 참석한다.
회의는 제이크 설리번 미국 국가안보보좌관과 브라이언 디스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이 주재하고, 삼성전자에서는 최시영 파운드리사업부장(사장)이 참석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회의의 주된 목적은 미국 중심의 반도체 공급망을 강화하고 주요 기업들로부터 반도체 관련 투자를 이끌어내려는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앞서 백악관은 현재 반도체 칩 공급이 지연되면서 전세계적으로 자동차, 가전, 스마트폰 등의 생산이 차질을 빚고 있는 상황에서 반도체 및 기타 주요 분야에 대한 미국의 공급망의 복원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를 논의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반도체 업계에선 미국의 요구 사항과 이에 삼성전자가 회의 종료 이후 어떤 '입장'을 내놓을 지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우선 업계에서는 백악관이 삼성전자에 반도체 관련 투자 확대를 공식적으로 요청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함께 바이든 행정부가 삼성전자측에 일부 완성차 업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최근 심각한 공급 부족을 보이고 있는 차량용 반도체 증산을 요청할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한편 삼성전자의 고민은 이번 백악관 회의가 '미중 무역 전쟁'의 연장선상으로 비춰질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미국이 이번 회의의 성격과 관련해 '반도체 수급 문제 해결'을 앞세우긴 했지만, 일각에서는 여전히 '반중 반도체 동맹'을 공고히 하려는 포석이라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가 백악관 회의에 적극 화답할 경우, 이를 지켜보는 중국과의 관계가 껄끄러워질 수도 있다는 얘기다.
실제로 삼성전자 입장에선 중국 역시 매우 중요한 시장이다. 지난해 삼성전자의 전체 중국 매출은 약 37조 8067억 원으로 전체 매출의 약 16%를 차지했다. 삼성전자는 시안에 해외 유일 메모리 공장으로서 낸드플래시 팹도 운영하고 있다.
이런 상황속에서 중국도 최근 한국과의 첨단기술 분야에 대한 협력을 타진했다.
지난 3일 중국 푸젠성 샤먼에서 열린 한·중 외교장관 회담 이후 중국은 "한국과 5G, 빅데이터, 녹색경제, 인공지능(AI), 반도체 집적회로, 신에너지, 보건산업 등 분야의 협력을 중점적으로 강화해 질 높은 협력 파트너가 되기를 희망한다"라고 강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