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은 국민들에게 송구할 정도로 방역관리 상황이 나쁘다며, 사람 간 접촉을 줄여야 한다고 호소하고 있다.
◇"동절기 지나도 확진자 증가…4차 유행 시작됐다고 봐야"
지난해 11월 중순부터 시작된 3차 유행의 끝이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1일 0시 기준 신규확진자는 551명으로 이틀 연속 500명대 증가세를 기록했는데, 지난 2월 19일(561명) 이후 41일 만에 가장 많은 수치였다.
최근 1주일간 신규확진자도 490명→505명→482명→382명→447명→506명→551명으로 300명대는 1번에 불과하고 모두 400~500명대 확산세를 기록하고 있다. 전국 거리두기 2.5단계를 적용할 수 있는 상황인 것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 권준욱 부본부장은 1일 현재 방역 관리 상황에 대해 "위·중증과 사망 규모는 줄어들고 있어도 말씀드리기조차 송구할 정도로 상황이 좋지 않다"고 평가했다.
방역당국의 적극적인 대응이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가장 큰 원인은 3차 유행이 기존 신천지나 사랑제일교회발 집단감염과 달리 확산을 주도하는 집단이나 시설이 없기 때문이다.
현재는 전국 유흥시설, 교회, 의료기관, 사업장 등의 다중이용시설과 개인간 사적 모임에서 전파가 빈발하고, 또 반복되는 양상이 계속되고 있다.
여기에 사회적 거리두기가 5개월 넘게 지속되며 시민들의 경각심이 무뎌지고, 날씨가 따뜻해지며 시민들의 휴대전화 이동량도 지난해 11월 이전 수준으로 돌아간 상태다. 다중이용시설 영업 제한시간 연장 등 일부 거리두기 수칙이 완화된 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처럼 방역망에 잡히지 않은 지역사회 잠복 감염이 추가 전파를 일으키기 쉬운 환경이 되면서 조금씩 감염 규모가 커지는 상황이다.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이재갑 교수는 "동절기가 다 지나갔음에도 확진자가 늘어나는 이유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잘 되지 않아서라고 밖에 볼 수 없고, 이미 4차 유행이 이미 시작됐다고 봐야 한다"며 "거리두기 단계와 수칙이 완만한 만큼 400~500명대의 환자에서 균형점이 찾아졌다고 분석한다"고 언급했다.
특히, 이번 부활절이나 4.7 재보궐선거와 같은 대규모 행사가 기폭제가 돼 추가 확산이 발생할 개연성이 높은 상황이다.
일단 정부는 당장 전국의 거리두기 단계를 높이기 보다는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대신 각 지자체별로 거리두기 단계 조정하도록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이 교수는 "앞선 유행처럼 대규모 확산이 시작된 뒤에야 정부가 강화된 대책을 내놓을 것 같아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거리두기에 대한 경각심이 떨어진 상태에서 방역당국이 할 수 있는 역할은 제한적이다. 취약시설이나 집단감염에 우려되는 장소에 대한 선제검사를 늘리고, 이를 통해 확진자 발견시 광범위한 추적조사를 벌이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2월 26일부터 지난달 25일까지 한달 동안 요양병원·시설·노숙인 시설 등에 대해 선제검사를 실시한 결과 37명의 확진자를 발견했고, 입영장병과 교정시설에 대한 선제검사에서도 각각 17명, 35명의 확진자를 찾아냈다.
다만, 국립암센터 예방의학과 기모란 교수는 "선제검사가 이뤄진 요양병원·시설 등에서는 확진자가 많이 줄었다"며 "하지만 경각심이 낮아지며 다수의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는 지인 모임에 대해서는 방역당국이 통제할 방법이 마땅치 않다"고 지적했다. 지난달 선행 확진자와의 접촉으로 감염된 확진자의 비율은 첫째주 31.3%(857명)에서 넷째주 41.1%(1263명)로 급증했다.
사적 모임을 통한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개개인이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우선이고, 방역당국 입장에서는 의심 증상이 있는 사람이 최대한 신속하게 검사를 받도록 유도하는 방법 밖에 없다. 하지만 예방접종이 본격화되며 보건소의 업무도 가중되고 있어 임시선별진료소 규모를 무한정 늘리기 어려운 상황이다.
결국, 자가진단키트를 도입해 개개인이 감염 여부를 빠르고 편하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기 교수는 "현 상황에서는 자가진단키트와 같은 방식이 아니라면 검사 수를 확 늘릴 수 있는 방법이 없다"며 "PCR검사보다 민감도가 낮아 '가짜 음성'에 대한 우려가 크기 때문에 영국의 사례 처럼 1주일에 2회 정도 반복해서 검사하는 방법을 통해 정확도를 높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방역당국도 2일 자가진단키트의 활용방안에 대해논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도입 여부나 활용 방법 등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권준욱 부본부장은 "지역사회에 환자가 많으리라고 판단되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서는 정확도나 정밀성 이상으로 간편성, 접근성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며 "최대한 지역 사회에 숨어있거나 무증상이라도 초기에 환자를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전문가회의를 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