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이 25일 공표한 신기후평년값을 기준으로 기후변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 기온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이며 최근 10년간 기온, 강수 등 날씨 변동 폭이 큰 것으로 파악됐다.
기후평년값은 '0'으로 끝나는 해의 최근 30년간의 누년 평균값이다. 세계기상기구(WMO) 권고에 따라 10년마다 산출하는데, 현재 기후를 진단하고 미래 기후를 예측하는 객관적인 기준이 된다. 기상청이 이날 공표한 신평년값(1991~2020)은 구평년값(1981~2010)과 비교해 평년값을 제공하는 지점을 3배 늘렸으며, 통계 요소를 9개 추가했다.
전국 평균기온은 지구온난화에 따라 10년마다 0.3도씩 상승한 것으로 파악됐다. 전국 연평년기온은 12.8도로, 과거 평년보다 0.3도 올랐다. 2010년대 평균 기온은 13.1도로, 1980년대보다 0.9도 상승했다. 우리나라 평균기온 추세는 전지구 상승 추세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연강수량은 1306.3mm로 구평년과 비슷했으나, 최근 10년 동안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1시간 최다강수량이 30mm 이상인 일수인 전국 집중호우 일수는 구평년보다 1.5일 느는 등 2000년대 이후 증가 추세다. 구평년보다 6월과 9월 강수량은 줄었고, 10월 강수량은 늘었다.
계절 길이의 변화도 두드러졌다. 봄과 여름은 4일 길어지고, 겨울은 7일 짧아졌다. 봄과 여름도 다소 빨라졌다. 신평년의 봄과 여름 시작일은 각각 3월 1일, 5월 31일로 구평년(3월 7일·6월 2일)보다 빠르다. 계절 길이는 전국 6개 지점(서울, 인천, 대구, 부산, 강릉, 목포)을 평균해 산출한다.
우리나라 연근해 수온은 동아시아 해역보다 높고 가파르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평년 동아시아 수온과 연근해 수온은 구평년과 비교해 각각 0.2도, 0.3도 올랐다. 2011~2020년 한반도 연근해 수온은 17.9도로, 1981~1990년 대비 0.7도 상승했다. 기상청은 이같은 해양기후 변화가 수산 재해, 어종 변화 등 사회·경제적 영향으로 이어진다고 진단했다.
한편 기상청이 공표한 신기후평년값은 '기상자료개방포털'에 접속해 신기후평년값 배너를 클릭한 뒤, 조건검색 후 데이터를 다운로드해 이용할 수 있다. 기상청은 신기후평년값을 정부·지자체·공공기관에 배포했으며, 오는 5월 응용·분석정보를 제공하고 11월엔 한국기후표·기후도를 발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