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코로나치료제·백신 임상시험 비용 1300억 지원

mRNA 백신 개발도 나서기로…이동형 음압병동 조기 도입 추진

국내 백신 개발 연구. 연합뉴스
정부가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의 신속한 개발을 위해 1300억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기업의 임상시험 비용 부담을 덜어주고, 국가 주도로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백신 기술 개발에도 나서기로 했다.

정부는 19일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지원위원회' 회의를 열어 이 같은 지원 계획을 논의했다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가 밝혔다.

우선 국산 치료제나 백신을 개발하는 기업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히는 임상시험 비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올 한해 약 1314억원(치료제 627억원·백신 687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펀드 등을 통한 지원도 추진한다.

또 임상시험 참여자 모집이 어려운 점을 고려해 '해외임상종합상담센터'(국가임상시험재단) 등을 통해 기업의 해외 임상을 도울 계획이다. 임상시험 심사·평가 등과 관련된 각종 인프라를 확충하고, 임상 단계별 전문 인력도 집중적으로 양성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셀트리온의 항체치료제 '렉키로나주'가 지난 5일 최초로 허가를 받았으며, 이외에도 40여 개 기업이 치료제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백신의 경우 SK바이오사이언스 등 5개 기업이 임상에 진입했다.

정부는 개발된 치료제가 신속히 환자 치료에 활용될 수 있도록 올해 상반기부터는 국가 주도로 '신속 임상연구'를 진행한다. 국립감염병연구소 등이 치료제의 유효성과 즉시 적용 가능성을 더욱 빠르게 검토하게 된다.

아울러 정부는 신종 감염병에 대비해 차세대 치료제·백신 플랫폼 기술 등에 투자를 확대하기로 했다. 특히 'mRNA 백신 사업단' 등을 운영하며 mRNA 백신 기술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중증 환자 급증에 따른 병상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동형 음압병동' 사용도 앞당겨진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코로나19 중증 환자 치료를 위해 개발한 이동형 음압병동은 원자력의학원에 시제품이 설치돼 있으며, 지난달 말 특허등록이 완료됐다.

정부는 이러한 계획들을 달성하기 위해 올해 지난해보다 약 20%(441억원) 증가한 총 2627억원의 예산을 마련했다.

구체적으로는 치료제·백신 개발에 1528억원, 연구·생산 인프라 구축에 564억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또 방역물품·기기 고도화(345억원), 기초연구 강화(190억원) 등에도 예산이 투입된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