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 따르면 이 기술은 화재나 지진 등 재난 현장이나 전화국사 화재로 인한 통신 재난, 연근해 통신 등 기존 이동통신이 되지 않을 때 우리나라 산간벽지 전역에서 이용할 수 있다.
위성통신은 기본적으로 성형망(Star Topology) 접속 기술을 사용해 왔다. 단말 간 직접 통신이 불가하고 '허브'라 불리는 중계기를 거쳐야 하는 기술이다. 구조상 접속 경로가 길어져 지연 시간이 늘어난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전파 지연 시간이 짧은 그물망(Mesh Topology) 접속 방식을 이용해 신호 송신부와 수신부를 하나로 만든 모뎀칩 '에이직'(ASIC)을 개발했다.
개발한 모뎀칩은 50원짜리 동전 크기인 1.3㎝ x 1.3㎝로 다양한 목적의 범용 칩과 달리 위성통신에만 필요한 기능만을 담았다. 지연시간도 기존 0.5초에서 0.25초로 절반가량 줄였다.
서로 다른 신호를 동시에 주고받을 수 있는 채널 수도 최대 32개로 늘렸다. 전송 속도 또한 최대 13Msps로 동영상 스트리밍이 충분히 가능한 수준이다. 전송 기법인 대역확산지수는 최대 16까지 지원한다.
향후 행정안전부와 해양경찰청, 소방방재청 등과 실증을 통해 실제 재난·재해 현장에서 실시간 현장 제어를 위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로 검증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ETRI 변우진 전파위성연구본부장은 "위성통신 상용화로 재난안전통신망을 안정적으로 활용하고 도서 산간 지역 정보 소외지역 격차 해소와 군 작전 지역 군용 통신 등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