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승객들이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전차를 타고 경기도 등까지 환승없이 이용할 수 있으나 앞으로는 새로 노선이 연장될 경우 서울시계 외의 구간에서는 해당 지자체가 운영하는 전철로 환승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겠다는 것이다.
서울시의 이같은 입장은 도시철도를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의 만성적인 적자 재정과
안전문제 등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승객들 입장에서는 무조건 환승을 해야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해 논란이 예상된다.
서울시는 다만 환승에 따른 승객들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필요 없이 곧바로 맞은편 플랫폼을 통해 환승할 수 있는 평면환승 구조로 만들겠다는 입장이다.
현재 김포공항 9호선에서 내리면 이동 없이 바로 맞은편 선로의 공항철도를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 평면환승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금까지 서울시는 서울 시계외 노선의 직결 연장을 서울교통공사를 통해 운영해 왔다.
서울시내 본선뿐만 아니라 7호선 부평구청 연장, 5호선 하남 연장 등 시계외 노선까지 운영을 맡아오면서 수도권 광역교통시스템을 책임져 왔으나 서울교통공사의 심각한 재정 적자와 각 지자체의 미온적인 책임 분담, 추가적인 직결 연장 요구로 운영상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서울시는 "시와 서울교통공사는 연장 노선 운행 시 사고 예방과 신속한 대처를 위해 시설물 개선 비용을 각 지자체에 요청했으나 그동안은 해당 지자체의 재정 여건과 비협조로 인해 시설 개선은 일부에 그쳤다"며 " 이로 인해 본선 구간 열차 운행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등 안전 문제 발생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실예로 구의역 사고(16.5) 이후 서울시 구간에는 승강장안전문(PSD)에 '레이저 센서'를 모두 설치완료('18년)했으나, 7호선 직결 연장 구간(까치울~부평구청)은 해당 지자체 예산 부족으로 미설치된 상태다.
또 새로운 노선이 연계됨에 따른 시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해당 지자체에서 충분한 열차를 투입하지 못해 지하철 혼잡도가 높아지는 등 이용객 불편으로 이어졌다.
7호선 부평구청역 직결 연장 개통('12.10월) 이후 서울 구간(온수~가산디지털단지역)의 최대 혼잡도는 147.5%('11년) → 161%('15년)로 크게 높아졌다.
이에 서울시는 앞으로 도시 철도 연장 및 광역 철도에 대해 원칙을 마련, 서울 시계 외 노선은 '직결 연장'이 아닌 '평면 환승'을 기준으로 할 것이며 이를 통해 보다 안전하고 일원화된 철도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평면환승에 대해 이용객은 오랜 시간 걸어야하는 불편함 없이 빠르게 환승할 수 있고, 차량 고장 등이 발생했을 때에도 평면 환승을 통해 전 노선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어 고장으로 인한 운행 상의 위험성을 줄여준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 직결연장으로 인한 승무 운전시간 연장과 장기 운전으로 인한 피로감을 상당수 줄여 안전성도 강화할 수 있게 된다고 덧붙였다.
특히 7호선의 경우 향후 경기, 인천 지역으로 연장되는 노선 길이가 약 106km에 달하는 등 도시철도 중 최장 노선이 된다며 이는 장시간 운전에 따른 업무상의 과로로 위험성이 높아지고 노사 간의 갈등도 증가되나, 평면 환승이 되면 근로자를 위한 근무 환경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안정된 광역 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인근 지자체 등과 함께 개별 노선에 대해서도 이러한 원칙을 논의해왔다며 이를 통해 최종 원칙을 확정한 것라고 설명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다만 노선이 연장되는 서울시계외 해당 지자체가 철도운영에 대한 재정부담을 늘리는 등 입장이 변화되면 또다른 협의가 이뤄질수도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