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경우,전국 5대 광역시에 공급하기로 한 22만여가구의 물량과 맞물려 있다.
이를 단순하게 수치상으로 계산하면 부산에는 5만가구 정도가 공급물량으로 볼수 있다
부산지역에는 연간 평균 1만5000여 가구가 정도가 공급되는 것을 감안하면 3년치 정도의 물량이 한꺼번에 공급되는 셈이다.
이 같은 물량이 민간주택공급 물량과 맞물릴 경우,3,4년 이후에는 공급과잉사태를 빚을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특히 서부산권 에코텔타시티(2만여가구)가 앞으로 1,2년 내에 분양될 것으로 보여 공급과잉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번 대책이 개발여건이 좋지 않은 역세권과 준공업지역 등에 집중돼 있어 공급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도 배제할수 없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이렇게 되면 공급과잉도 일부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돼 집값 안정에 도움이 되지 못할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이에 따라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얼마나 속도감있게 공급을 추진하느냐가 관건이라는 지적이다.
또 부산의 집값은 서울과 수도권 집값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만큼,수도권 안정이 곧 부산의 안정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동의대 부동산대학원 강정규 원장은 "일단 이번대책으로 서울과 수도권이 하향 안정된다면 부산도 하향 안정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강 원장은 "그렇게되면 실수요자나 무주택자에게는 내집 마련의 기회가 온다고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강 원장은 다만 "수도권 집값이 안정될 경우,부산사람들의 수도권 유출이 가속화되면서 수도권과 부산의 격차가 심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부동산 서베이 이영래 사장은 "전체적으로 부산에 공급물량은 많지 않아 지역의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이 사장은 "이번 대책이 역세권과 준공업지역 등 그동안 개발이 어려웠던 곳을 지목하면서 그 지역의 지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 사장은 이어 "이들 지역이 공공주도로 속도감 있게 개발될 경우 공급이 증가하면서 집값 안정화에 일정부분 도움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