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고양이에서 사람으로? 이론상 가능하지만..."

IEM 국제학교, 비인가였던 점이 사태 키워
반려동물 감염 사례는 수시 보고, 관찰 필요
거리두기 완화? 그냥 풀면 대유행 돌아간다
300명이 안정대? 작년엔 그 숫자에 공포 느꼈다

*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를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CBS에 있습니다.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20~09:00)
■ 진행 : CBS 김정훈 기자 (김현정 앵커 대신 진행)
■ 대담 : 이재갑(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대전 IEM국제학교를 비롯해 현재 코로나19 상황과 관련해서 궁금한 것들이 많은데요. 오랜만에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 연결해서 추가적인 자세한 설명을 이어서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재갑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 이재갑> 안녕하세요.

◇ 김정훈> 앞선 인터뷰에서 이 말씀을 좀 나눴지만 대전 IEM국제학교의 집단감염! 역시 3밀 조건에서 집단생활을 했던 것이 큰 패착으로 돌아온 것 같아요.

◆ 이재갑> 그렇습니다. 일단 사람들이 많이 몰릴 수밖에 없는 조건이었고요. 아이들뿐만 아니라 선생님하고 또 교회하고도 연관이 돼 있으면서 많은 사람들이 생활을 했었고 또한 마스크를 가끔 착용 안 했다는 얘기도 들려서요. 그런 공간에서 아주 집단발병이 일어나면 이렇게 대규모 발병이 일어날 수 있다는 걸 다시 한 번 보여준 사례입니다.

◇ 김정훈> 지금 최근 집단감염 사례 상당수가 유독 종교시설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 같아요. 이게 어떤 독특한 이유가 있을까요.

◆ 이재갑> 일단 종교시설 특징이 교회 중심으로 많이 발생을 하는데요. 워낙에 우리나라 교회들이 모이는 것 자체에 대한 상당한 뭐라 그럴까요. 집착이라고 표현할 수 있을까요. 그런 거에 대해서 되게 중요하게 여기는 측면들이 있어서 또 그러다 보니까 자주 모이고 또한 그런 모임들을 통해서 단순히 예배만 드리는 게 아니라 소모임이라든지 이런 2차적인 모임들을 통해서 전파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라서 일단 앞으로도 계속 종교집단 내에서의 발병을 막을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들은 이제 종교계가 먼저 스스로 준비를 해야 되지 않을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 김정훈> 교수님, 이런 시설에 대한 관리를 놓고 방역당국이 고민도 많고 어려움도 많이 느낄 것 같은데 특히 좀 어떤 부분을 더 좀 철저히 주의를 기울여야 된다, 이런 말씀도 있을까요?


◆ 이재갑> 사실 이번에 제대로 관리가 안 됐던 측면들이 이게 비인가 학교에서 교육부의 관리대상도 아니고 또한 아예 종교시설이이어서 교회였으면 구청이나 이런 데서 관리를 했을 텐데 이런 부분들이 사각지대에 있었던 부분들이거든요. 사실 이런 부분들은 다른 어떤 제보에 의해서 움직이거나 아니면 먼저 사전에 찾아가는 그런 행정이 아니면 아예 찾기가 힘든 상황입니다.

그래서 여러모로 일단 이런 부분이 없는지에 대해서는 지자체들이 좀 더 찾아봐야 될 것 같고요. 또한 이런 데를 운영하는 분들도 사실 운영을 하게 되면 거기에서 이런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이제 그 안에 있는 사람들에게 큰 피해를 주는 부분이기 때문에 나름 이런 부분들에 있어서 사전에 좀 준비를 먼저 했어야 되는 게 아닌가, 이런 생각도 하고 있습니다.

◇ 김정훈> 교수님, 최근에 또 하나 큰 화제가 됐던 아니면 우려를 낳았던 그런 일이 있었는데 반려묘 그러니까 고양이한테서 코로나19 확진 사례가 나왔다 이런 얘기가 있어서요. 그러면 이게 코로나19의 감염경로로 동물도 이게 포함되는 것 아니냐 이런 우려가 좀 나오고 있어요. 이걸 어떻게 봐야 될지.

◆ 이재갑> 일단은 반려동물에서의 감염 사례는 사실 외국에서도 아주 많이 보고가 됐고요. 또한 동물원에 있는 동물들도 감염이 된 사례들도 아마 기억하실 거고요. 또한 덴마크 같은 경우는 밍크가 집단감염 되면서 사실 우려를 낳은 적도 있어서 사람에서 동물로의 감염은 꽤 빈번하게 일어난다 이렇게 알려져 있고요.

그런데 다만 동물에서 동물까지도 이제 어느 정도 보고는 되는데 동물에서 사람으로 실제로 오는지는 가능성은 많이 낮다. 의심이 되는 사례, 밍크의 사례에서는 좀 노동자들한테 옮긴 게 아니냐. 의심되는 사례가 있기는 있었지만 이런 반려동물이 감염이 되는데 반려동물 때문에 사람이 감염된 사례는 극히 보고가 없는 상황이거든요. 일단은 이 부분들에 있어서는 계속해서 반려동물 감염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를 해야 되고요. 혹시 사람에게 전파 가능한 형태의 그런 변이가 일어나는지 이런 부분들도 계속 연구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 김정훈> 그러네요. 일단은 현재까지 크게 우려할 부분은 아니다. 그런데 만약에 동물들이 감염되면 그 증상은 사람이 감염됐을 때의 증상하고 마찬가지일까요? 비슷할까요?

◆ 이재갑> 이제 동물들 같은 경우에 표현을 잘 못 하는 측면들이 있잖아요. 그래서 초기에 이제 식욕이 좀 떨어지는 형태를 보인다든지 시름시름 앓는다든지 이런 양상. 일부 동물들은 호흡기증상, 콧물이 흐른다든지 이런 증상으로 나타난다고 하거든요. 그래서 일단은 확진자하고 접촉력이 있어야 또 감염이 가능한 거니까 이런 접촉력이 있으면서 이제 갑자기 이런 음식 섭취가 줄어든다거나 이런 부분일 때는 의심을 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 김정훈> 알겠습니다. 교수님, 지금 원래 며칠 전까지는 하루 1000명 넘게 확진자가 발생하다가 최근 들어서 그 확진자 추이가 완만하게 분명히 좀 하향세로 돌아선 것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그러면 지난 연말부터 이어져온 그 3차 대유행, 이제는 좀 소멸단계로 가고 있다 이렇게 보면 너무 좀 성급할까요?

◆ 이재갑> 소멸 단계로 보기에는 상당히 어렵고요. 사실 지금 300명대, 400명대 환자 발생을 하는데 저희가 기억하시겠지만 10월, 11월에 300명, 400명이면 전 국민이 공포를 느끼던 수준이거든요.

◇ 김정훈> 그렇네요.

◆ 이재갑> 그리고 지금이 겨울이 계속되고 날씨가 춥고 실내활동이 많아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우리가 느슨해지면 언제든 확진자 숫자가 갑자기 늘어날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앞으로 설 연휴까지 그 이후까지 겨울이 끝날 때까지는 훨씬 더 조심스럽게 시간을 보내야 될 것 같습니다.

◇ 김정훈>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화된 거리두기 그 단계는 조금 낮춰도 되지 않나, 이런 의견들은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교수님 어떻게 생각하세요?

◆ 이재갑> 그러니까 저희가 전례들을 다 기억을 하셔야 되는데요. 10월 달에 확진자 100명대인데 1단계로 낮추고 나서 1000명까지 올라가는 데 1달 정도밖에 안 걸렸거든요. 한 달 반 정도 걸려서 올라간 상황인데 지금 상황에서 단계를 완화하는 거 논의할 수는 있겠지만 단계완화 자체가 지금 피로도가 너무 높은 상황에서 단계완화가 되면 일상생활로 돌아갈 가능성이 상당히 높거든요. 그래서 단계완화는 완만하게 하지 않는 이상 잘못된 시그널로 인해서 우리가 4차나 5차 유행을 언제든 볼 수 있는 상황이 될 거기 때문에 상당히 주의하면서 완만하게 완화시키는 전략을 가져가야 될 거라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 김정훈> 그러니까 단계 완화 자체는 대단히 좀 신중하더라도 아니면 혹시 지금 세부적인 지침에서라도 이를테면 지금 5인 이상 집합금지를 풀어 달라. 아니면 밤 9시 이후 영업금지 조치는 조금 좀 완화해 달라, 이런 요구들은 있는데 교수님이 보실 때 그래도, 그래도 이 정도는 완화해도 될 만한 부분이 없지는 않다, 하는 부분도 있으실까요?

◆ 이재갑> 일단 지금 유행 상황을 완화하는 데 5인 이상 집합금지 명령하고 9시 이후 영업중지가 상당한 역할을 했다고 이제 전문가들이 다 보고는 있거든요. 그래서 다만 영업장들, 자영업자들 운영과 관련해서는 좀 열어줄 측면이 있는데 다만 단순히 열어주게 되면 예전으로 돌아가는 상황밖에 안 되기 때문에 그런 영업하시는 분들이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는 방법들을 마련하고 그거를 준수하는 데부터 차근차근 열어가는 방식이 더 안전하지 않을까 이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 김정훈> 교수님, 질문 하나만 드릴게요. 청취자 해****님이 질문 주셨는데 코로나19가 처음에는 박쥐에서 사람으로 전파됐다, 이렇게 알려지고 있거든요. 그런데 지금은 이제 반려동물에서 인간으로 전파되는 것은 극히 가능성이 낮다라고 설명해 주셨는데 이건 어떻게 좀 봐야 될까요?

◆ 이재갑> 일단 종간 전파라고 하거든요. 그러니까 동물, 같은 포유류들이, 포유류에서 포유류로 넘어가려면 바이러스의 변이가 계속 일어나서 그 포유류에 맞는 그런 폐에 침범할 수 있는 그런 여러 가지 변이들이 일어나야 되는데요. 그런 변이가 일어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거든요. 그러니까 언제든 그런 변이가 일어날 수는 있고 전파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현재까지는 그런 변이는 아직 없다. 이렇게 보는 게 맞습니다.

◇ 김정훈> 가능성이 대단히 낮은 상태이기는 하다 이런 말씀이시네요. 알겠습니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도록 하겠습니다.

◆ 이재갑> 네, 감사합니다.

◇ 김정훈>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였습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