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에서는 논문 내용을 근거로 등교수업을 확대하지 않은 정부의 결정을 비판하고, 조속히 등교를 재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지만, 정 청장은 충분한 준비 없이 유행 규모가 작을 때의 분석 내용을 현 시점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무리라는 입장이다.
정 청장은 25일 "학교 내 방역조치가 사전에 준비가 잘 돼서 학교 내 대규모 전파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이 논문의 결론"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정 청장과 질병청, 한림대 의대 사회예방의학교실 등은 지난해 12월27일 소아감염학회지에 실은 논문을 통해 초중고교의 등교가 재개된 지난해 5월 1일~7월 12일 사이 발생한 소아·청소년 확진자 중 교내 전파 사례는 3명(2%)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소아청소년들은 대부분 가족·친지로부터 감염됐고(59명, 46%), 학원·개인교습(18명, 14%), 다중이용시설 (8명, 6%) 등의 순이었다.
하지만 당시 교내 전파가 희박했던 원인은 신천지발 대유행과 8월 수도권 유행 사이 국내 확진자 규모가 적었던 시기에 발열체크 등 충분한 방역조치가 결합됐기 때문이다. 이같은 상황이 지역사회 유행이 만연한 현재에도 그대로 적용되리라는 보장은 없다.
해당 논문의 결론도 '코로나19 감염예방을 위한 관리체계가 사전에 마련되고 준비된 경우 학교 내 코로나19 전파는 드물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정 청장은 "지난해 교육부에서는 교내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등교 전에 자가관리 앱에 건강 상태를 등록하고, 교내에서도 발열체크, 손 위생 등 방역조치를 강화해서 대응한 바가 있다"며 "이번 3차 유행의 결과로 학교 일부에서 집단발병이 발생했기 때문에 분석을 통해 올해 학교 방역대책 중 어떤 부분을 보완하고 관리할 지에 대해 교육당국과 위험도 분석을 하며 협의를 진행해왔다"고 설명했다.
학교가 코로나19 전파로부터 비교적 안전하니 등교를 해도 괜찮았다는 뜻이 아니라 철저한 방역조치가 뒷받침되는 것이 필요하다는 데 방점이 찍혔다는 것이다.
정 청장은 "질병관리청은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질병에 대한 예방과 관리를 하는 곳"이라며 "앞으로도 이러한 역학적인 상황에 대해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근거해 정책을 만들고, 논문의 형태로 발표해 전문가 및 국제사회와 소통할 것"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