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로써 토니 블링컨 장관 후보자와 웬디 셔먼 정무차관 후보자에 이어 성 김 대행까지 한반도 문제에 정통한 인사들이 국무부 요직을 장악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바이든 정부가 코로나19 등의 산적한 현안들로 인해 북한 문제를 후순위로 돌릴 것이란 예상과 달리 적극적 대북접근에 대한 기대감을 낳고 있다.
21일(현지시간) 미 국무부 홈페이지에 따르면 김 전 대사는 전날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대행에 임명됐다.
김 대행은 국무부 동아태 부차관보와 대북정책특별대표, 6자회담 수석대표 등을 역임해 북한·북핵 문제에 누구보다 정통하다. 한국 대사 외에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대사도 거쳐 중량감도 커졌다.
필리핀 대사 재직 때는 2018년 6월 북미 싱가포르 정상회담을 앞두고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과 합의문 초안에 대한 실무회담을 벌이기도 했다.
서울 태생의 한인 1.5세로 한국어에 능통한 김 대행이 최종 임명될 경우 남·북·미 외교 실무자 간의 소통은 더 원활해질 수 있다. 동아태 차관보를 겸한 대북정책특별대표를 맡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국 사정에 밝고 이해도가 높은 만큼 한미관계에도 긍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국 정책 결정에 '혈통적 요인'이 개입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다.
한편 블링컨 장관 후보자는 최근 인사청문회에서 대북정책의 전면 재검토 방침을 밝혀 구체적 배경과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
블링컨 후보자는 오바마 정부 때 북한에 대한 '전략적 인내' 정책에 관여한 강경파로 알려졌지만 그와 다른 평가도 나온다.
셔먼 부장관 후보자의 경우는 빌 클린턴 대통령 시절 국무부 대북정책조정관을 지냈고 매들린 올브라이트 국무장관의 방북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면담에 배석한 경험이 있는 '북한통'이다.
이밖에도 바이든 정부에선 커트 캠벨 전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일명 '아시아 차르'로 불리는 신설된 국가안보회의(NSC) 인도·태평양 조정관에 임명되는 등 아시아 중시 현상이 눈에 띈다.